학생·교직원 개인정보 수집 불필요…국내 첫 모바일신분증 연계
‘관리 중심’ 접근 방식 제시로 일선 학교 관계자·학부모 큰 호응

지난해 교육부가 발표한 '외부인 무단 침입 사고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 초·중·고교에서 외부인의 무단 출입으로 인한 강력 범죄가 40% 이상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 운영중인 수기 방문대장은 허위 기재, 개인정보 유출, 보안 취약 등의 문제로 인해 더 이상 효과적인 출입 통제 수단이 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사전에 방지하고 학생과 교직원의 안전을 실질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학교 출입관리 시스템'이 개발돼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에듀테크 보안솔루션 전문기업 바른정보기술(대표 김상인)은 국내 대표적인 포털사인 네이버를 비롯해 최대 통신사인 KT와 협력해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차세대 학교 출입관리 시스템 '스쿨패스(School-Pass)'를 개발해 일선 학교에 보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쿨패스는 학생 및 교직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않는 국내 유일한 사전예약 시스템으로 네이버·카카오·패스(PASS) 등 개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한 간편하고 정확한 신원을 인증할 수 있디. 별도의 네트워크 공사가 필요 없다.
특히 한국조폐공사 모바일신분증 운영팀 승인을 받은 국내 최초 모바일신분증 연계 학교 출입시스템으로 행정안정부로부터 인정을 받았으며 라벨 기반 공표 방식으로 비인가자 실시간 식별 가능 및 교내 구성원 전원이 출입 보안 참여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 방문자 발열 감지 및 안면인식 모니터링으로 질병 및 바이러스를 사전 차단할 수 있고 안면 데이터를 자동 기록해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개인정보유출 1억원 배상책임보험에 가입된 국내 유일한 학교 출입시스템이며 범죄 기도자는 스쿨패스 시스템 설치 학교를 기피하게 되는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 밖에 별도의 관리 전담 조직이 필요하지 않는 운영 자동화로 관리 이슈 제로화 및 행정 업무 감소를 꾀할 수 있으며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과 동시에 디지털 교육환경 인프라 선도학교로서의 위상도 강화할 수 있다.

스쿨패스는 출시 한 달 만에 30개교 이상에 납품했으며 전국 70여 개 대리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보급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선 학교 직원들은 “스쿨패스 설치 이후 무단 출입 사례가 눈에 띄게 줄었고, 자동화된 출입 관리로 업무 부담도 크게 줄었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학부모들도 “자녀의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높은 신뢰를 보내고 있다.
박창용 바른정보기술 전무는 “'스쿨패스'는 통제가 아닌 '관리 중심'의 접근 방식으로 보다 안전하고 실효성 높은 대안을 제시한다”며 “학교 구성원 모두가 보안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로 실질적인 범죄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안전한 학교,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한 학교 출입보안 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박 전무는 “타사 제품의 경우 실물 신분증 스캔을 통한 본인 확인으로 타인의 신분증을 습득하거나 절도해 인증할 경우 범죄 도구로 악용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며 “이에 반해 강력하고 정확한 신원인증 시스템을 갖춘 스쿨패스는 외부인 무단출입에 대한 법적인 구속력 없이 통제 책임을 일선 학교에게만 전가하는 구조적 문제까지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광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