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플라즈마, 印尼 혈액제제 자급화 위한 혈장 첫 도입

Photo Image
인도네시아 혈액제제 자급화를 위해 평택항에 수입된 혈장이 SK플라즈마 안동공장으로 이동하고 있다.(사진=SK플라즈마)

인도네시아에서 혈장분획제제 플랜트를 건설 중인 SK플라즈마가 현지 투탁생산(CMO) 사업에 속도를 낸다.

SK플라즈마는 혈장분획제제 생산에 사용할 인도네시아 혈장이 안동공장에 도착했다고 10일 밝혔다. 인도네시아 혈액제제 내재화를 위해 2023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생산 설비 구축 프로젝트 일환이다. SK플라즈마는 당시 신규 공장 완공 전까지 국가필수의약품인 혈액제제를 CMO 방식으로 공급하기로 했다.

순차적으로 입고되는 인도네시아 혈장은 올해 상반기 생산에 본격 투입된다. 현지 분획공장 완공 전까지 인도네시아 보건당국이 혈액원에서 확보한 혈장을 SK플라즈마에 보내면, SK플라즈마는 안동공장에서 '알부민'과 '면역글로불린' 등 총 두 개 완제품을 생산해 인도네시아로 공급한다. 자국민 혈액 기반으로 한 혈액제제 공급을 위해 인도네시아 혈장이 국내에 수입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플라즈마는 수탁 생산 기간 중 안동공장에서 인도네시아 현지 인력에 대한 기술이전 교육도 병행한다. 품질 관리, 생산 등 전문기술 교육을 실시해 공장 완공 후 안정적으로 의약품을 생산·관리하는 바이오 전문가로 육성한다.

SK플라즈마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카라왕 산업단지에 건설하고 있는 혈액제제 생산 공장은 2026년 4분기에 가동된다. 연간 60만리터의 혈장을 분획할 수 있다.

김승주 SK플라즈마 대표는 “혈액을 원료로 한 의약품이라는 특성상 자국민의 혈장으로 의약품을 생산하는 것이 권고되는 반면, 혈액제제 생산은 고도의 기술력과 인프라가 필요해 CMO 시장 잠재력은 매우 높다”면서 “CMO와 현지 기술 이전 등 SK플라즈마가 보유한 기술·솔루션을 바탕으로 생산 기술이 필요한 국가와 협업해 글로벌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