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의약품 관세 우려에…셀트리온 “최적 대응 체계 이미 수립”

Photo Image
셀트리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반도체·의약품에 대해 4월부터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셀트리온이 영향을 최소화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관세에 해당하지 않는 재고분을 확보하는 등 앞서 대응 전략을 수립했다는 설명이다.

셀트리온은 19일 '주주님께 드리는 글'을 통해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 관련 대응 전략을 공지했다. 지난달 30일 1차로 대응책을 공개한 지 약 3주 만이다.

셀트리온은 실제 의약품 관세 시행 여부를 지켜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회사는 “약가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의약품 관세는 약가 인하를 위해 눈에 띄는 제도적 노력을 보였던 트럼프 대통령의 과거 기조와 정면으로 배치된다”면서 “이달 12일에는 미국 공화당 소속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이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의약품 등 일부 품목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의견도 밝힌 바 있어 실제 의약품 관세 시행 여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관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별개로 미국 의약품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해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올해 미국에서 판매 예정인 제품에 대해 지난달 말 기준 9개월분의 재고 이전을 마무리했다”고 강조했다. 올해 미국 현지 판매분에 대해선 영향을 최소화했다는 설명이다.

셀트리온은 위탁생산(CMO) 역시 관세 리스크 발생 전부터 현지 업체에서 완제의약품(DP) 생산체계를 구축했다. 회사는 “이들 제조소와 협의로 추가 생산 가능 물량도 이미 확보했다”면서 “의약품에 대하여 관세 부과가 되는 경우 2025년 영향은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대응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상반기에 관세 부담이 완제의약품보다 크게 낮은 원료의약품(DS) 수출에 집중하기로 앞서 결정했다. 이어 “의약품 관세 부과 여부 추이에 따라, 필요하면 현지 완제의약품 생산을 지금보다 더욱 확대하는 전략으로 상황 변화에 대응하겠다”고 전했다.

내년 이후도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전략을 이미 갖췄고, 작년부터 구체적 검토를 진행해 온 미국 현지 원료의약품 생산시설 확보도 올해 상반기 중 투자 결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 향방과 관련해 주주 여러분이 우려하지 않도록 모든 상황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