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내달 녹색전환 지원사업을 본격 가동한다. 아이디어만 있어도 창업 인큐베이팅을 지원하고, 연구개발(R&D)을 지원해 환경기술 사업화를 돕는다. 재생에너지, 수소, 해수담수화 등 유망분야 해외시장 진출도 적극 지원한다.
환경산업기술원은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 △청년그린창업 스프링캠프 △중소환경기업 사업화 지원사업 등 중소·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참가기업을 2월 5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은 녹색산업 유망 창업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창업자와 7년 이내 스타트업이 대상이다. 시제품 제작·개선, 마케팅 등에 소요되는 창업자금과 멘토링, 창업아이템 시장검증, 투자유치 컨설팅 등을 지원받아 창업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중소환경기업 사업화 지원사업'은 우수기술을 보유한 중소 환경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공률를 높이기 위해 시제품 제작부터 시장 검증까지 사업화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한다. 청정대기 등 '사업화 부문'에 200억원을 투입하며, 바이오가스 등 '녹색신산업 부문'에는 125억원을 지원한다. 사업화 부문은 기업당 8개월 간 최대 3억원, 녹색신산업 부문은 20개월 간 최대 6억원을 지원한다.
미래환경산업 육성, 녹색채권 지원, 해외진출 지원도 강화한다.
올해 총 4600억원규모 '미래환경산업육성융자사업' 접수를 2월 3일부터 14일까지 받는다. 중소·중견 환경기업 육성, 기업 녹색시설 설치 등에 필요한 자금을 5~10년 저리(1분기 기준 1~1.61%)로 빌려준다. 올해는 중소기업의 저탄소·녹색설비 설치 유도를 위해 녹색전환 분야 지원규모를 작년 대비 600억원 증액하고 환경오염방지시설 자금 지원한도 또한 100억원에서 300억원으로 상향했다.
기업들이 녹색산업에 활발히 투자할 수 있도록 한국형 녹색채권 지원사업도 진행한다. 기업이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할 때 발생하는 이자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것으로,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에는 채권 발행금액의 1%에 해당하는 이자 비용을, 대기업과 공공기관에는 0.2%에 해당하는 이자 비용을 기업당 최대 3억원까지 지원한다. 2월 28일까지 1차 지원기업을 모집한다.
'해외 환경프로젝트 타당성조사(F/S) 지원사업' 접수도 2월 28일까지 진행한다. 해외사업 초기 개발단계의 비용 부담과 불확실성을 줄이고 국내 기업이 해외의 수주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취지다. 재생에너지, 수소, 해수담수화, 폐기물에너지화,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포함한 녹색산업 전 분야에 대한 F/S에 총 95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김영기 환경산업기술원 본부장은 “창업부터 해외진출까지 맞춤형 지원사업을 적극 진행해 유망 기업들이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