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국민 체감형 AI 서비스로 긍정적 인식 높여야”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인공지능(AI)을 악용한 딥페이크 음란물 등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AI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AI가 '양날의 검'인 만큼 순기능과 역기능을 나란히 두고 볼 필요가 있으며, 국민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보기술(IT) 업계는 최근 텔레그램을 중심으로 딥페이크를 악용한 음란물이 유통되면서 딥페이크 등 AI 기술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을 우려하고 있다. 기술은 가치 중립적으로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데, 악용 사례만 일파만파 퍼지며 딥페이크를 비롯한 AI 기술 규제가 강화되고 국민적 인식이 악화하고 있어서다.

IT업계 관계자는 “딥페이크는 드라마·영화 등 영상 매체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면서 “최근 딥페이크를 악용한 불법 음란물 유통으로 기술 자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졌다”고 토로했다.

그간 AI가 그리는 미래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이 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3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민 대다수(96.8%)가 AI 기술이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답변은 13.2%에 그쳤다.

다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내 삶을 편리하게 할 것(87.3%), 경제적으로 많은 기회가 생길 것(78.0%), 더 나은 정보 서비스를 받게 해줄 것(85.2%), 더 많은 정보를 얻게 할 것(83.9%) 등 AI 청사진과 함께 일자리가 줄어들 것(83.0%),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커질 것(84.8%), 허위 조작 정보가 심해질 것(81.6%) 등 우려도 섞여 있다.

전문가들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활성화해 긍정적 인식을 고취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AI 기술이 없었으면 불편한, AI가 있어 국민이 누릴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을 독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시각장애인의 보행에 도움을 주는 스마트 지팡이, 어르신 돌봄 AI, 언어 치료 AI, AI 통·번역 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누구나 노인이 되고 초고령화 시대에 맞춰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AI 기술 확대 필요성이 대두된다. 실제 최근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AI가 독거노인에게 주기적으로 안부를 묻는 서비스도 이뤄지고 있다.

김명주 서울여대 바른AI연구센터장은 “국민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AI 서비스가 많이 나와야 한다”면서 “시니어·장애인 등 사회복지의 사각지대에 있는 디지털 취약계층을 돕는 AI 서비스 개발을 위한 국가 차원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Photo Image
인공지능(AI) 기술에 대한 국민 인식.(출처: 2023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조재학 기자 2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