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꿈의 에너지'로 불리는 핵융합에너지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전략이 수립됐다. 전략안을 기반으로 민관 기반 기술혁신과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한편 1조2000억원 규모 민관 합동 핵융합 혁신형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사업 등이 본격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제20차 국가핵융합위원회를 열고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을 심의·의결했다.
핵융합은 태양에서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모방, 중수소와 삼중수소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을 뜻한다. 핵융합에너지는 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며, 고준위 방폐물을 발생시키지 않고, 폭발 위험도 없어 높은 안전성을 지닌 미래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핵융합 기술은 고온초전도, 혁신형 핵융합 장치 등 혁신 기술개발과 인공지능(AI), 디지털트윈 등 첨단 기술 접목으로 새로운 기술적 돌파구 마련과 상용화가 기대되고 있다.
이번에 수립한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은 이러한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역량을 확보해 탈탄소 시대 에너지 안보·주권 핵심축으로 도약하는 것을 정책목표로 한다.
기술혁신, 산업화, 생태계라는 3가지 기본방향을 중심으로 △민관 협력을 통한 핵융합 기술혁신 △핵융합에너지 산업화 기반 구축 △핵융합에너지 혁신생태계 조성 등 3대 전략과 9가지 핵심 과제를 포함한다.
민관 협력을 통한 핵융합 기술혁신을 위해 '퓨전 엔지니어링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우수한 민간 엔지니어링 역량과 공공 핵융합 기술 역량을 결합하는 민관 공동 개발체계 방식으로 핵융합 실증로 건설 단계에서 필수인 디버터·증식블랑켓 등 핵심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민간 컨소시엄이 연구개발(R&D)을 주도하고 공공기관은 컨소시엄에서 개발된 기술이 핵융합로에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조의 '플러그인 프로그램'도 도입된다. 디지털트윈 기술개발·적용으로 가상 핵융합로를 선제 구현해 핵융합로 설계 고도화 및 검증 신뢰성을 높이고, AI 기술을 활용한 핵융합로 표준 운영 기술개발도 추진 예정이다.
핵융합에너지 산업화 기반은 민간기업, 대학, 출연연 등으로 구성된 '핵융합 혁신포럼' 출범과 공공기술 민간 확산과 상용화 등을 지원하는 전담기관 지정·운영 등을 통해 촉진한다. 국내 핵융합 기업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핵융합 종합 수출정보 플랫폼'을 구축해 해외 기술·규제 동향 및 발주·입찰 정보제공 틀도 마련한다.
핵융합에너지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과제로는 공공 연구성과와 설계역량을 대학·기업에 확산할 수 있도록 개방형 연구협력 체계 등이 추진된다. 대학과 기업이 한국형 핵융합 연구로(KSTAR), 국제 핵융합 실험로(ITER) 등을 통해 축적된 핵융합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핵융합 빅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고, 핵융합 분야 혁신기술 개발 및 난제 해결을 위한 첨단 연구 인프라 수요도 발굴해 구축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또 민관 합동으로 핵융합 혁신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인프라 구축을 위한 1조2000억원 규모 '핵융합 혁신형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사업' 예비타당성조사도 기획 추진할 예정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핵융합에너지는 에너지 문제 및 전력수요 증가 문제 해결책으로 미래에는 핵융합에너지 기술을 확보한 나라만이 글로벌 에너지 시장을 주도할 수 있다”며 “민관 협력 중심 R&D 전환과 핵융합 생태계 강화를 통해 핵융합에너지를 조기에 확보, 에너지 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