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4 로컬 콘텐츠 페스타' 개막식에 참석해 '로컬 콘텐츠 성공사례'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4 로컬 콘텐츠 페스타' 개막식에 참석해 '로컬 콘텐츠 성공사례'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펼쳤다.

오 시장은 기조연설에서 “지역 강점과 특색이 담긴 지역 정책에 관한 인사이트를 빠르게 공유하고 행정에 적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며 ”서울시도 작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콘텐츠를 뚝섬 한강공원으로 옮겨와 국제정원박람회를 열었는데 일주일만에 100만, 현재는 300만명이 방문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며 로컬 콘텐츠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오시장은 서울 청년이 지역 자원을 활용한 창업활동 '넥스트 로컬'을 비롯해 서울 명소에서 진행되는 '직거래 장터', 서울방문 관광객이 지역을 방문할 수 있도록 관광콘텐츠를 소개하는 명동 '지역관광 안테나숍 트립집' 등 지역 발전을 위해 서울시가 추진하는 대표 상생사업을 소개했다.

오 시장은 시민들이 붙여준 별명이 '밀리언 셀러 시장'이라며 “국제정원박람회, 손목닥터9988 등 참여자가 100만명이 넘는 다양한 정책과 함께 '책읽는 서울광장'에서 서울시 대표 행사와 축제에서 직거래 장터를 진행했는데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986개 농가가 참여한 직거래 장터에 약 37만명이 방문해 35억원의 매출을 발생했고, 올해는 직거래 장터 규모와 횟수를 획기적으로 늘리고 연중 상설화하는데 집중할 계획이다.

또한, 은퇴연령 서울시민을 위해 자연, 의료, 관광 등 도시인프라를 갖춘 지방 도시에 제2, 제3의 서울을 조성하는 상생형 순환도시 조성 사업 '골드시티'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지방소멸 우려가 있는 지역과 서울의 높은 주거비·생활비가 부담스러운 시민들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고, 주거 부담으로 결혼을 미루는 청년들에게 은퇴자들이 살던 빈집을 제공해 저출생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그야말로 '윈·윈·윈 정책”이라며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공존·상생 행정을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