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SaaS 성공전략 컨퍼런스]“국방부가 물꼬튼 美 공공 SaaS…韓도 공공 SaaS 성공사례 만들어야”

Photo Image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전자신문이 주관하는 '2024 공공 SaaS 도입 성공전략 콘퍼런스'가 2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김은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본부장이 '혁신의 물결을 타라 : 공공부문의 SaaS 활용 전략'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미국은 국방부가 2022년 클라우드를 전면 도입하는 10조원 이상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시작한 후 지난해 공공 클라우드 전체 예산이 전년도 대비 30% 이상 급증했습니다. 국방부 사례를 발판으로 많은 공공이 클라우드 도입을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예산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등 미국 공공 SaaS 확산에 기폭제 역할을 했습니다. 우리나라도 공공 주요 사례가 나오면 시장 물꼬를 터줘 공공 SaaS 시장이 급성장 할 것이라 기대합니다.”

김은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본부장은 21일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24 공공 SaaS 성공전략 컨퍼런스'에서 '혁신의 물결을 타라: 공공부문의 SaaS 활용 전략'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김 본부장에 따르면 미국 공공의 민간 클라우드 도입 예산은 2021년 15조원에서 2022년 18조 5000억원대로 3조 5000억원 가량 증가했다. 2022년 국방부가 전투역량을 클라우드 전환하는 10조원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를 시작한 후 2023년 클라우드 예산이 23조원대로 늘었다.

이 가운데 SaaS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미국 정부의 한 해 SaaS 예산은 2022년 7조원 규모에서 2023년 14조원 규모로 두 배 가량 껑충 뛰었다.

김 본부장은 “미국 정부 클라우드 예산 전반을 SaaS가 이끌었다고 해도 무관할 만큼 공공분야 SaaS 시장이 커졌다”면서 “클라우드가 활성화된 미국 사례에서 보듯 서비스형인프라(IaaS), 서비스형플랫폼(PaaS) 등 전체 클라우드 시장에서 SaaS가 한 번 탄력받으면 급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SaaS 시장이 급성장하는 이유는 IaaS, PaaS에 비해 다양한 장점을 보유했기 때문이다.

SaaS는 △비용 절감 △유연성과 확장성 △접근성 △데이터 이동성 △자동 업데이트와 쉬운 사용성 등 도입 시 여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김 본부장은 “IaaS로 시작해 PaaS로 갈수록 도입 시 여러 어려움과 비용, 시간 등이 수반된다”면서 “반면 SaaS는 도입이 쉽고 도입 효과가 높아 많은 공공이 채택하기 안성맞춤”이라고 설명했다.

Photo Image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전자신문이 주관하는 '2024 공공 SaaS 도입 성공전략 콘퍼런스'가 2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김은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본부장이 '혁신의 물결을 타라 : 공공부문의 SaaS 활용 전략'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정부는 공공 SaaS 본격 확산을 위해 법제도를 비롯해 유통활성을 위한 플랫폼 구축 등 기반을 마련에 주력해왔다.

클라우드컴퓨팅법을 통해 국가기관 등이 클라우드 보안인증을 받은 민간 클라우드를 우선 도입하도록 명시했다.

내년도 예산안 편성과 기금운용계획안 세부 지침에 클라우드 우선 정책을 반영했다.

김 본부장은 “중앙부처는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예산 요구시 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 등 디지털서비스 도입·전환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디지털서비스 서비스 이용규모와 향후 변동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신뢰성이 검증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우선 도입 전환을 고려하도록 했다”면서 “신규·재구축 정보화사업은 ISP 최총산출물에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 등 디지털서비스 도입 검토결과를 제시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ISP 또는 ISMP 수립 시 디지털플랫폼정부 기본원칙 적용을 우선적으로 검토해 그 결과를 최종 산출물에 포함해야한다. 민간클라우드를 도입 우선순위로 둬야하고 도입이 불가할 경우 구체적으로 적용 불가 사유가 제시돼야 한다.

공공이 원하는 SaaS를 검색·도입하기 위한 실질 과정도 지원한다.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과 정보통신기술(ICT) 기술마켓이 대표적이다.

김 본부장은 “공공 담당자는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을 통해 원하는 SaaS를 검색후 자체 조달 또는 조달청을 통해 조달 구매를 할 수 있다”면서 “원하는 SaaS 서비스 검색부터 이용계약하는데까지 걸리는 기간이 평균 2주로 빠른 시간 내 SaaS 도입이 가능한 환경”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본부장은 “ICT 기술마켓을 이용하면 중소기업의 혁신성이 높은 기술 제품을 평가·구매할 있다”면서 “마켓에 등록된 SaaS를 이용하면 공공부문 경영평가에 가점이 추가되는 등 구매 인센티브도 있어 구매·판매 담당자 모두 만족할만한 플랫폼”이라고 소개했다.

공공 SaaS 구매를 위한 제도와 환경이 마련된 만큼 주요 공공 사례가 필요하다.

김 본부장은 “내년부터 SaaS 기반 AI 디지털교과서가 추진되면서 초·중·고 약 420만명 대상 교육부문 SaaS가 본격화될 것”이라면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가 함께 교육 발전을 비롯해 SaaS 등 클라우드 산업 성장을 이끄는 모멘텀을 만들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김 본부장은 “과기정통부와 NIS가 법제도 개선을 비롯해 예산편성 지침, ISP 수립 가이드라인 등을 개선하며 클라우드와 SaaS 성장 기반을 만들어왔다”면서 “이같은 제도적 기반을 잘 활용해 공공은 SaaS 도입·활용을 통해 혁신을 만들고 기업은 SaaS 시장을 창출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공동기획: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Photo Image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전자신문이 주관하는 '2024 공공 SaaS 도입 성공전략 콘퍼런스'가 2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김은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본부장이 '혁신의 물결을 타라 : 공공부문의 SaaS 활용 전략'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