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4/04/04/news-p.v1.20240404.a8c4782bc4a84c2098d72f4bafa89b77_P1.jpg)
CJ푸드빌은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 8447억원, 영업이익 453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11.2%, 73.6%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지난 2021년 흑자 전환에 성공한 이래로 영업이익은 연평균 300% 이상 성장했으며 지난해 실적은 연간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베이커리 해외 사업은 미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주요 진출 국가에서 모두 흑자를 냈으며 전체 영업이익 중 해외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0%에 달한다. 원·부재료 및 제반 비용의 증가와 출점 규제로 인한 국내 베이커리 시장 성장 한계 속에서도 해외사업 성과를 통해 호실적을 견인했다는 평가다.
CJ푸드빌은 현재 7개국에 진출해있으며 미국·인도네시아·베트남에 현지 법인을 운영 중이다. 미국은 2018년 CJ푸드빌 해외법인 중 최초로 흑자 전환에 성공한 이후 6년 연속 신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비 38% 증가하며 진출 이래 최초로 1000억원을 돌파했다. 영업이익은 전년비 179% 증가하는 등 지난해에도 사상 최대 흑자를 내며 꺾이지 않는 성장세를 입증했다.
뚜레쥬르는 지난해 미국에서 100호점을 돌파하고 가맹점 출점에 탄력을 받고 있다. 오는 2030년 미국 내 1000개 매장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2025년에는 미국 조지아주에 연간 1억개 이상의 생산능력을 갖춘 공장을 완공할 계획에 있다.
인도네시아와 베트남도 지난해 흑자 전환 이후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인도네시아 매출은 전년비 20%, 영업이익은 27% 상승했다. 현재 60여 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베트남은 경기 둔화로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흑자를 지켜냈다.
빕스, 더플레이스, 제일제면소 등 국내 외식 부문 역시 프리미엄화와 진화 모델 확대를 통한 질적 성장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외식 부문 매출은 전년보다 23.4%, 영업이익은 86.7% 늘었다. 빕스는 프리미엄 전략은 실적 성장에 주효했다는 설명이다. 또한 한국식 면 전문점인 '제일제면소'와 이탈리안 비스트로 '더플레이스'는 고유의 브랜드 정체성을 바탕으로 진화 모델을 선보이며 성장 기반을 다졌다.
CJ푸드빌 관계자는 “출점 규제로 인해 10년 이상 지속된 외형적 성장 한계를 글로벌 사업이라는 돌파구를 찾아 사상 최대 실적을 이뤄낼 수 있었다”며 “올해에는 견조하게 자리잡은 흑자구조를 바탕으로 글로벌 F&B 기업으로서 한층 더 도약하겠다”라고 말했다.
강성전 기자 castlek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