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을 둘러싼 국가간 경쟁이 치열하다. 이런 가운데 중국이 최근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새로운 정책을 들고 나왔다. 이른바 'AI+ 행동'이다.
중국 정부 발표에 따르면 'AI+ 행동'은 빅데이터, AI 등 연구·응용을 강화하는 것이다. 지난 2010년대 인터넷을 산업 전 영역으로 확장하는 '인터넷+'라는 개념을 사용한 중국정부가 이를 AI로 확대한 것이다.
AI+ 행동은 미·중 간 AI 기술 경쟁이 본격화된 상황에서 발표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미국은 미래 산업과 국가간 경쟁 구도를 좌우할 반도체와 AI를 중심으로 대중국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미국은 엔비디아의 고사양 칩의 대중 수출을 막은 데 이어 저사양 칩까지 통제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AI 개발 기업들은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등 과정에서 컴퓨팅 자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게 현실이다.
그럼에도 중국이 AI 등 기술개발에서 위협적인 것은 정부 차원에서 연구개발(R&D) 예산을 늘리며 전폭적인 지원을 하는 데 있다. 중국 재정부가 밝힌 올해 과학기술 예산은 3708억위안(68조7000억원)이다. 지난해보다 10% 증가다. 인적자원에 이어 금전적 지원가지 이어지며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는 셈이다.
지난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주·항공·정보통신기술(ICT), AI 등을 망라한 중요 과학기술 분야에서 한국 기술수준이 처음으로 중국에 추월당했다고 공개했다.
이는 2년 단위 평가에서 직전인 2020년 미국 대비 한국은 80.1%, 중국은 80%를 기록했는데 2년 뒤 한국 기술수준이 1.4%포인트 오른 사이 중국이 2.6%포인트 상승하면서 순위가 바뀐 결과다.
중국은 글로벌 패권 장악을 위한 국가 주도 과학기술 굴기 전략을 펴고 있다. 여기에 민간 투자를 포함한 중국의 전체 연구개발(R&D) 투자는 3조3000억위안(611조8천억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우리나라는 올해 R&D 예산 삭감으로 연구계는 물론 민간에서도 투자 재원 마련에 애를 먹고 있다. AI 등 선진 기술 경쟁이 심화되는 상화에서 상반된 모습이다.
열매를 얻고 과실을 따려면 좋은 씨앗을 심고 물을 주고 햇볕을 쪼여 잘 관리해야 한다. 기술 개발도 투자가 이뤄져야 결실로 나타난다. R&D 투자는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임을 정부는 잊지 말아야 한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아이폰 중 가장 얇은' 아이폰17 에어, 구매 시 고려해야 할 3가지 사항은?
-
2
코웨이, 10년만에 음식물처리기 시장 재진입 '시동'
-
3
'주사율 한계 돌파' 삼성D, 세계 첫 500Hz 패널 개발
-
4
현대차, 차세대 아이오닉5에 구글맵 첫 탑재
-
5
나무가, 비전 센싱 기반 신사업 강화…“2027년 매출 6000억 이상”
-
6
속보이재명, '위증교사 1심' 무죄
-
7
서울시, '한강버스' 2척 첫 진수…해상시험 등 거쳐 12월 한강 인도
-
8
이재명, 위증교사 1심 재판서 무죄
-
9
'각형 배터리' 수요 급증…이노메트리, 특화 검사로 공략
-
10
美 한인갱단, '소녀상 모욕' 소말리 응징 예고...“미국 올 생각 접어”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