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각지에 걸친 협력으로 얻어낸 다문화적(multicultural) 시너지가 현대차·기아 만의 독특한 성장 동력입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현대차·기아 미국기술연구소(HATCI) 일원인 매튜 알 시어 모하비 주행시험장 운영 파트장과 랜스 맥러스 샤시열에너지성능시험팀 책임연구원을 모하비 주행시험장에서 만났다. 현지에서 혹독한 테스트를 수행 중인 이들은 세계 3위 완성차 업체로 도약한 현대차·기아 위상 변화를 몸으로 체감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4/01/16/news-p.v1.20240116.dd04fbfe473844e3a33c22c8e3ad2d62_P1.jpeg)
모하비 주행시험장에서 20년째 근무 중인 알 시어 파트장은 “주변에 현대차·기아가 이룬 발전에 놀랐다고 말하는 이들이 많다. 함께 일하는 사람들 덕분에 이룬 성과”라며 “마켓 리더로 자리매김한 것을 보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고 말했다.
오프로드 주행성능 평가 및 튜닝을 담당하는 맥러스 책임연구원도 “일상 속에서 경쟁사 차량을 운전하다 보면 분명 현대차·기아 차량이 더 낫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있다”며 “현대차·기아 차량을 타보면 실제 더 낫다는 것을 알게 되고 이것이 오늘의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165만대 이상을 판매해 스텔란티스를 제치고 4위를 차지했다. 미국을 포함한 세계 주요 시장에서는 토요타, 폭스바겐그룹에 이어 톱3로 도약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4/01/16/news-p.v1.20240116.11a968a8081e47148263d62a937a1053_P1.jpg)
맥러스 책임연구원은 현대차·기아의 성능 개선과 관련해 “기본 트림부터 우수한 주행 성능과 패키징, 디자인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고객 입장에서 정말 만족스러운 상품성을 갖췄다”며 “오프로드 측면에서도 장애물이나 험로를 더 안정적으로 주파할 수 있도록 튜닝하고 운전자 안전성을 강화한 여러 사례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지 기술진은 전기차 특화 시험에도 공을 들인다. 맥러스 책임연구원은 “주행 거리 개선이 우선 중요한 과제”라며 “예전에는 더 많은 출력과 토크를 내기 위한 방법을 주로 연구했다면 (토크가 금방 생성되는) 전기차는 오히려 토크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들은 모하비 주행시험장에서 근무하면서 가장 뿌듯한 순간도 소개했다. 알 시어 파트장은 “20년간 현대차·기아가 이뤄낸 성과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항상 뿌듯함을 느낀다”며 “스스로 업무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을 갖고 사람들과 협력할 수 있는 곳이 바로 모하비 주행시험장”이라고 말했다.
맥러스 책임연구원도 “모하비 주행시험장에서 모든 테스트를 마친 차량이 고객에게 전달된다”며 “직접 튜닝한 기능으로 고객이 더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면 보람차다”고 강조했다.
캘리포니아시티(미국)=정치연 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