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건설 생산 10% 감소 시…韓 GDP 0.4% 줄어들 것” KDI 현안분석

Photo Image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이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중국 건설업 위축의 영향과 중장기 무역구조 변화의 시사점' 현안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중국 건설업 생산이 10% 감소하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이 0.4% 감소하고 무역, 수출 등 중간재 시장에도 타격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동남아시아·인도 등 급성장하는 신흥시장과 중동·동유럽으로 수출·투자시장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중국 건설업 위축의 영향과 중장기 무역구조 변화의 시사점'을 주제로 현안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최근 중국 부동산 건설업체의 재무건전성 악화가 대두되면서 중국과 밀접한 우리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건설업체 디폴트 선언 등 중국 부동산시장 관련 불안이 확대되면서 부정적 영향이 우리 경제로 파급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KDI 분석결과 중국 건설업이 위축돼 건설자재 생산·운송과 밀접한 화학산업, 광업, 해운업, 비금속광물, 금속제품 제조업에서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 중 건설업에서 직접 창출되는 부가가치 비중은 에 불과하나 건설업 생산 과정에 투입되는 중국의 중간재생산도 함께 감소해 중국 건설업이 10% 감소는 중국 GDP가 2.4% 감소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우리 경제는 중국 건설업 생산에 투입되는 중간재수출 감소의 영향을 주로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KDI는 거시경제 파급효과까지 감안할 경우 중국 건설업생산이 감소하면 우리나라 GDP는 0.4% 정도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소득 감소에 따른 추가적인 수요 감소 등 간접적 파급효과를 포함할 경우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은 더 크게 나타날 것”이면서 “중국 건설업생산 감소가 한 해에 모두 실현될 경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0.4%포인트(P)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의 중간재에 대한 경쟁력이 높아짐에 따라 한중 간 국제분업 관계가 약화되며 해외 중간재시장에서도 양국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정 실장은 “2007년에는 대 중국 수출 중 37.2%가 가공된 후 제3국으로 재수출됐으나 그 비중이 2014년에는 23.6%, 지난해는 22.0%로 하락했다”면서 “이 결과는 한국과 중국 간에 과거 활발했던 한국 중국 제3국의 국제분업 관계가 약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 건설업생산 감소가) 여러 해에 걸쳐서 진행되는 경우에는 경제성장률 하락폭이 그에 비례해 축소될 수 있으며, 대체시장 확보 등으로 충격을 완화할 여지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KDI는 중국과의 국제분업구조 변화에 대응한 뚜렷한 단기 대책을 찾기는 어려우나 수출·투자시장 다변화 등 위험 분산 전략을 지속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정 실장은 “동남아·인도 등 급성장하는 신흥시장과 중동·동유럽으로 기업 진출을 뒷받침하기 위해 KOTRA 등 정부 네트워크 등을 적극 활용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