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7년 지방 디지털 총생산 30조원 달성…디지털혁신지구 5개 조성”

정부가 2027년 지방의 디지털 경제 총생산액을 30조원까지 늘린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2020년 대비 세 배 이상 늘어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기업이 1000개 이상 집적된 '국가 디지털 혁신지구'를 5개 이상 조성한다. 수도권 쏠림이 심각한 디지털 인프라를 각 지역으로 분산하고 인재 육성 거점을 마련해 새로운 지역발전모델을 창출한다는 목표다.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이 지난달 지방시대위 심의·의결 및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고 1일 밝혔다.〈관련기사 4면〉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종합계획은 지방분권, 교육개혁, 혁신성장, 특화발전, 생활복지를 '지방시대 5대 전략'으로 내세웠다. 중앙정부는 앞으로 5년간 핵심과제 22개를 중심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한다.

특히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를 중점 추진과제로 꼽았다. 인재 부족 등 지방이 직면한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을 중심으로 새로운 지역 발전모델을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이 형성됐기 때문이다.

지방 디지털 경제 총생산액은 지난 2020년 기준 10조5000억원 수준이지만, 성장률은 14.3%로 수도권(5.3%)보다 10%P 가까이 높다. 이에 따라 역대 정부 처음으로 지방 경제·사회의 디지털화에 중점을 둔 범정부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지방대학 디지털 인재의 지방 정착률은 2021년 40% 수준에서 50% 이상으로 확대하는 데 주력한다. 또 농어촌 주민 등 지방 디지털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을 국민 평균 83%(2022년 78.8%) 수준까지 상향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정부는 목표 달성을 위해 △디지털 기업·인재의 성장과 정착, 기술 고도화 등 디지털 생태계 성장 지원 △지자체 주도 지방에 최적화된 디지털 프로젝트 구상 △디지털 관점의 지방정책 추진체계 확립 등에 초점을 맞출 방침이다. 또 학과 설치 없이 정원을 유연하게 확대할 수 있는 '계약정원제'를 지방대학에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윤희석 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