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7년 지방의 디지털 경제 총생산액을 30조원까지 늘린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2020년 대비 세 배 이상 늘어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기업이 1000개 이상 집적된 '국가 디지털 혁신지구'를 5개 이상 조성한다. 수도권 쏠림이 심각한 디지털 인프라를 각 지역으로 분산하고 인재 육성 거점을 마련해 새로운 지역발전모델을 창출한다는 목표다.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이 지난달 지방시대위 심의·의결 및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고 1일 밝혔다.〈관련기사 4면〉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11/01/news-p.v1.20231101.cf09096d50c6483c951814c9962c3549_P1.jpg)
종합계획은 지방분권, 교육개혁, 혁신성장, 특화발전, 생활복지를 '지방시대 5대 전략'으로 내세웠다. 중앙정부는 앞으로 5년간 핵심과제 22개를 중심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한다.
특히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를 중점 추진과제로 꼽았다. 인재 부족 등 지방이 직면한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을 중심으로 새로운 지역 발전모델을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이 형성됐기 때문이다.
지방 디지털 경제 총생산액은 지난 2020년 기준 10조5000억원 수준이지만, 성장률은 14.3%로 수도권(5.3%)보다 10%P 가까이 높다. 이에 따라 역대 정부 처음으로 지방 경제·사회의 디지털화에 중점을 둔 범정부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지방대학 디지털 인재의 지방 정착률은 2021년 40% 수준에서 50% 이상으로 확대하는 데 주력한다. 또 농어촌 주민 등 지방 디지털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을 국민 평균 83%(2022년 78.8%) 수준까지 상향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정부는 목표 달성을 위해 △디지털 기업·인재의 성장과 정착, 기술 고도화 등 디지털 생태계 성장 지원 △지자체 주도 지방에 최적화된 디지털 프로젝트 구상 △디지털 관점의 지방정책 추진체계 확립 등에 초점을 맞출 방침이다. 또 학과 설치 없이 정원을 유연하게 확대할 수 있는 '계약정원제'를 지방대학에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윤희석 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