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 수출 4대 강국 위해 '美 FMS 사업' 절충교역 강화해야” 산업硏

우리나라가 '글로벌 방산수출 4대 강국'에 진입하기 위해 미국 해외군사판매(FMS) 사업에 대한 수입절충교역을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절충교역은 해외 무기·장비 구매시 상대 측에서 관련 기술 이전이나 국산 무기·부품 수출 등 반대 급부를 요구하는 것을 뜻한다.

산업연구원(KIET)은 7일 '글로벌 방산수출 4대 강국 진입을 위한 K-방산 절충교역의 최근 동향과 발전과제'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최근 정부가 폴란드를 포함한 주요 무기 구매국들의 반대급부 요구에 적극 대응하는 반면 미국 F-35 전투기 2차 사업(4조원) 등 대형 무기구매사업에 대한 절충교역 추진이 저조하다고 진단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오는 2027년까지 글로벌 방산수출 4대 강국으로 올라서기 위해 미 FMS 사업을 주요국 수준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1983년부터 2022년까지 약 232억달러 규모의 절충교역 가치를 획득했다. 국내 무기체계 자체 개발을 위한 기술획득이 전체 46.0%(106.7억 달러)를 차지했다. 부품제작 및 수출 30.8%(71.4억 달러), 장비 획득 23.1%(53.6억 달러) 순이다.

하지만 2010년대 후반 이후 절충교역 확보가치가 감소하는 추세다. 최근 5년간(2016~2020년) 우리나라 절충교역 획득가치는 약 8억 달러에 불과하다. 이는 직전 5년간(2011~2015년) 기록한 79.9억 달러 대비 10% 수준이다.

Photo Image
<산업연구원 제공>

보고서는 “세계 130여개국이 무기구매 전제조건으로 활용 중인 절충교역 제도는 선진국 기술이전 및 부품 수출, 현지생산, 창정비 역량 확보 등의 주요 창구로 중요성이 더욱 강화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우리나라 절충교역 부진의 주요 요인은 △2018년 감사원 감사 이후 지속되고 있는 절충교역 '의무' 조항 폐지 논란 △주요국에 보편화된 '사전가치축적' 제도 미정착 △국익을 고려한 범부처 통합 절충교역 협상방안 부재 △주무 부처 내 부서간 절충교역 필요성 논쟁 지속 등으로 분석됐다.

산업연구원은 특히 2016년 이후 우리나라 무기구매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미 FMS 대형무기구매사업에 대한 절충교역 미추진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목했다. 실제 FMS 사업은 최근 10여년(2011~2022년)간 한국의 미국 무기수입 33.8조원 가운데 74%(25조원)를 차지했다.

장원준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글로벌 방산수출 4대 강국 진입을 위해서는 K-방산 절충교역의 위상을 재정립해야 한다”면서 “무기구매국의 기본권리인 절충교역 요구에 대한 '의무' 조항 유지와 함께 미 FMS 무기구매사업에 대한 절충교역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희석 기자 pione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