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경제계가 한일관계 정상화를 계기로 경제협력을 강화한다. 자원·에너지 무기화에 공동 대응하고 글로벌 공급망 재구축 과정에서도 상호 협력한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일본경제단체연합회는 17일 도쿄 경단련회관에서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BRT)'을 개최했다.

Photo Image
<17일 도쿄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 회관에서 열린 한일 비즈니스라운드 테이블에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왼쪽 두 번째부터),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박수치고 있다. [자료:연합뉴스]>

'한일 경제협력 활성화'를 주제로 개최된 이 날 BRT에는 한국에서 김병준 전경련 회장직무대행을 비롯한 전경련 회장단 등 대표 경제인 12명이, 일본에서는 도쿠라 마사카즈 경단련 회장 등 11명이 참석했다.

김병준 전경련 회장직무대행은 개회사를 통해 “12년 만에 양국 정상 셔틀외교가 복원된 것을 환영하며, 특히 양국이 수출규제 등 한일 교역의 걸림돌을 제거하기로 합의한 것에 대해서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김 대행은 “한일관계 정상화를 계기로 전경련은 경단련과 공동으로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을 조성하고,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구축을 위해 양국 현안 공동연구와 청년세대 교류 등 함께 노력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또한 “양국 경제계는 상호 투자 확대, 자원 무기화에 대한 공동 대응, 글로벌 공급망 구축과정에서의 협력, 한일간 인적교류 정상화, 제3국 공동진출 확대, 신산업 분야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교류를 본격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도쿠라 마사카즈 경단련 회장은 “산업면에서 한일 양국이 함께 해야 할 과제가 많으며, 지금이야말로 미래지향적 시점에 서서 쌍방이 지혜를 나누면서 연계·협력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불가결하다”고 말했다.

도쿠라 회장은 또 “한일 정부가 관계 건전화를 추진하고 있는 이 천재일우의 기회를 결코 놓치지 않고,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구축을 향한 길을 확고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BRT에서 한국 측 경제인들은 정부에게 칩4의 핵심 국가인 한국과 일본의 경제안보동맹 강화, 양국 젊은 층의 교류 확대 및 양국 공동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 글로벌 룰 세팅에서의 한일 협력 강화 등을 요청했다.


일본 측 경제인도 “한일관계가 미래를 지향하면서 보다 나은 방향으로 진전된 것을 높이 평가하며, 일본 경제계는 양국 간 무역·투자 확대, 디지털·그린 분야에서의 이노베이션, 성장산업 연계, 제3국 시장협력 등 경제교류 확대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