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303/1626693_20230301161032_659_0001.jpg)
윤석열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 “일본은 협력파트너”라고 규정했다. 지난해 광복절 기념사에서 '일본은 이웃'이라고 표현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복합 위기와 엄혹한 안보 상황 속에서 한미일 3자 협력을 더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1일 서울 이화여고 내 유관순 기념관에서 열린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 “(3·1 만세운동) 104년이 지난 오늘 우리는 세계사의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받았던 우리의 과거를 되돌아봐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 세계적 흐름에 대응하지 못했던 조선말기 뼈아픈 우리 역사를 되짚은 셈이다.
윤 대통령은 “영광의 역사든, 부끄럽고 슬픈 역사든 역사는 잊지 말아야 한다.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우리가 우리의 미래를 지키고 준비하기 위해서다”라며 2023년 현재 우리나라가 처한 대내외적 상황을 설명했다.
세계적인 복합 위기, 북핵 위협을 비롯한 엄혹한 안보 상황, 우리 사회의 분절과 양극화 속에서 변화하는 세계사의 흐름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미래를 준비하지 못한다면 과거의 불행이 반복될 것이 자명하다는게 윤 대통령 판단이다.
특히 “3·1운동 이후 한 세기가 지난 지금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그리고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가 됐다”며 “복합 위기와 심각한 북핵 위협 등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한미일 3자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우리는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연대하고 협력해서 우리와 세계시민의 자유 확대와 공동 번영에 책임있는 기여를 해야 한다”고 했다. 104년 전,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외친 우리 선열들의 그 정신과 결코 다르지 않다고 역설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303/1626693_20230301161032_659_0002.jpg)
윤 대통령은 “독립을 상상하기도 어려웠던 시절에, 그 칠흑같이 어두운 시절에,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던진 선열들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조국이 어려울 때 조국을 위해 헌신한 선열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한다면 우리에게 미래는 없다”며 “우리 모두 기미독립선언의 정신을 계승해서 자유, 평화, 번영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가자”고 했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