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위손' 테리지노사우루스, 무시무시한 1m 발톱이 장식용?

Photo Image
영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중 한 장면. 테리지노사우루스(왼쪽)와 티라노사우루스(오른쪽)가 포효하고 있으며 테리지노사우루스 발톱에 찔린 기가노토사우루스가 바닥에 쓰러져있다. 사진=유니버설 픽쳐스

영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에서 1m에 달하는 낫 같은 긴 발톱을 이용해 강력한 공격을 퍼붓던 공룡 ‘테리지노사우루스’의 발톱이 사실은 공작의 꼬리깃털 같은 장식용이라는 이색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브리스틀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과 중국과학원 산하 '척추고생물학·고인류학연구소'(IVPP)은 수각류 공룡 테리지노사우루스와 알바레즈사우루스의 발톱을 분석한 결과를 과학 저널 '커뮤니케인션스 바이올로지'(Communications Biology)에 발표했다.

Photo Image
테리지노사우루스(왼쪽)와 알바레즈사우루스 발톱 3D 모델. 사진=Shuyang Zhou

테리지노사우루스와 알바레즈사우루스는 둘 다 용도가 불분명한 발톱을 가지고 있다. 크기는 다르지만 유전학적으로 사촌격이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연구팀은 이 공룡의 발톱을 현존 동물과 비교해 기능을 분석할 수 있는 생체역학적 컴퓨터 모델을 개발했다. 우선 컴퓨터단층촬영(CT)을 통해 3차원 발톱을 만든 뒤 공학적 기법으로 응력과 변형률을 적용하고 발톱의 기능이 확인된 현존 동물과 비교해 용도를 찾아냈다.

테리지노사우루스는 공룡 중에서는 가장 긴 3갈래의 발톱(약 1m 길이)을 갖고 있는데, 연구 결과, 이 발톱은 너무 가늘고 길쭉해서 다른 공룡과의 싸움에서 무기로 활용되기는 어렵다.

대신 테리지노사우루스의 발톱은 장식용으로 활용됐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어떤 기계적 기능도 할 수 없고, 공작의 깃털처럼 짝짓기 대상을 유혹하거나 경쟁자를 위협하는 용도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유전학적으로 사촌격인 알바레즈사우루스는 달랐다. 닭 크기의 작은 공룡 알바레즈 사우루스는 뭉툭한 앞다리에 하나의 발톱을 가지고 있는데, 땅을 파는데 요긴하게 사용됐다.

백악기 말기 가장 작은 공룡으로 진화한 알바레즈사우루스는 초기에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발톱을 가졌지만 개미굴을 파는데 적합하지 않아 몸집이 작아지며 외발톱을 갖게된 것으로 분석됐다.

논문 공동 저자인 브리스틀대학의 에밀리 레이필드 교수는 "과학과 기술이 공룡을 되살릴 수는 없지만 첨단 컴퓨터와 공학기술을 이용해 멸종동물의 생활방식을 보여줄 수 있다"면서 "알바레즈사우루스와 테라지노사우루스는 유사한 종을 찾을 수 없을 만큼 특이했지만 첨단기술의 도움으로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전자신문인터넷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