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동해가스전 CCS 사업 재구성…지자체 복수 참여도 검토

여러 선택지 두고 모두 참여 추진
2분기 예타 제안서 제출 목표
업계 "재원 한정…신중한 접근을"

Photo Image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통합실증사업 개념도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가 동해가스전 탄소 포집·저장(CCS) 사업을 다시 구성하고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한다. 당초 지방자치단체 1곳과 함께 예타에 대응할 계획이었지만 복수 지자체를 선택지에 두고 모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산업부는 당초 예정보다 밀린 오는 2분기에 예타 제안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관련 업계는 포집원에 따라 기술개발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면서, 정부가 한정된 재원으로 복수 지자체를 검토하는 것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8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산업부는 오는 2분기 예타 제출을 목표로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중규모 실증 인프라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 규모는 1조원 수준으로 계획하고 있다.

이 사업은 지난해 8월 공고를 시작으로 본격 추진한 사업으로 당초 지난해 예타를 제출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예정보다 일정이 밀렸고, 지난해 12월 산업부 조직개편으로 사업 소관 부서도 기존 온실가스감축팀에서 에너지기술과로 이관되면서 내용도 재구성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예타를 준비하면서 당초 지자체 1곳을 선정해 사업을 추진하려던 것에서 복수 지자체를 모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사업에 참여의향을 보이는 지자체는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로, 참여 지자체에 따라 저장된 CCS를 운반하고 관련 기술을 실증할 수 있다. 가령 동해1 가스전에서 가까운 울산시에서 실증사업과 R&D를 추진하면 울산의 산업단지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동해1 저장소로 파이프라인을 활용해 운송할 수 있다. 부산시에서 사업을 추진한다면 선박을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운송하는 방안을 고민할 수 있다. 경제성에 대한 검토가 아직 정밀하게 이뤄지지 않은 만큼 가능한 많은 선택지를 두고 예타에 대응하겠다는 구상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이산화탄소 포집원을 두 곳으로 두는 것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투자 여력이 있다면 포집원을 다양화할 수 있겠지만, 현 상황에서는 선택과 집중을 해야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포집원을 꼭 하나만 할 필요는 없지만 '선택과 집중' 차원에서 두 군데를 다 하는 것이 맞는지는 모르겠다”면서 “포집원 자체가 다르니 기술도 다르고 CO2 농도도 울산과 부산이 다르다”고 지적했다.

또 정부가 계속 늦어지고 있는 예타 대응 일정에도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예타 심사가 통상 6개월에서 1년 정도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당초 계획대로 당장 내년 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현재로서는 2025년에 사업을 시작해서 2031년에 사업을 마무리할 가능성이 크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