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총조사 시스템 체계 바꾼다…비대면·행정자료 활용 확대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통계청이 2026년 실시할 예정인 제4차 경제총조사의 효율적인 조사 진행을 위해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하고 관련 연구용역을 실시한다.

통계청은 비대면 조사 확대, 시스템 일원화 등을 추진하기 위해 ISP 수립과 연구용역을 발주했다고 밝혔다.

경제총조사는 국내 산업 구조와 경영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다. 전국 모든 사업체가 대상이며 기존의 산업총조사와 서비스업총조사를 통합해 2011년 1차 조사가 실시됐다. 이후 2016년 2차, 2021년 3차 등 5년 주기로 조사를 실시 중이다.

경제총조사는 우리나라 경제통계의 근간을 이루는 조사로 각종 경제통계의 모집단으로 활용되며 정책 수립, 경제 분석 등에 사용된다. 중요성이 큰 만큼 대규모 인력과 예산이 들어간다. 지난 2021년 조사의 경우 약 600만개의 사업체 중 300만개를 현장 조사했으며 570억원의 예산과 1만6000명의 인력이 투입됐다.

이번 ISP는 2026년 예정된 경제총조사에 적용된다. 분리 운영 중인 시스템을 일원화하고 비대면 응답기능 추가, 자료처리 시스템 고도화 등을 목표로 한다.

통계청은 현재 경제총조사와 나라통계로 분리된 시스템을 나라통계 기반으로 일원화해 비효율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기존 경제총조사 시스템도 최대한 재활용해 구축 비용을 줄일 계획이다. 시스템을 통합하면 지자체와 지방통계청 조사관련자들이 물리적인 한계를 극복한 통합조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했다.

자료처리는 사업체의 응답 부담을 줄이기 위해 행정자료 활용을 확대하고 통계기법을 개선하는 등 기반 구축에 나선다. 인공지능 기반 통계분류 자동화 시스템 반영 가능성 등을 살펴본다.

통계청은 ISP 수립과 함께 경제총조사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도 진행한다.

경제총조사의 등록센서스율을 높이기 위해 행정자료 활용 및 대체 확대 방안을 모색한다. 현재는 규모가 큰 사업체, 행정자료와 일치율이 낮은 사업체, 무등록사업체 및 무급가족종사자가 있는 사업체는 현장조사를 하고 이외는 행정자료로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대체 기준을 조정해 행정자료 대체를 확대하는 게 골자다.

또 조사에 응하지 않는 사업체가 늘어나고 조사원이 중도에 조사를 포기하는 등 조사 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만큼 비대면 조사 확대 등 조사 환경 개선 방안도 연구할 계획이다. 비대면조사 응답률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조사 방식 도입 필요성을 검토하고 해외 사례를 분석한다.

통계청은 “경제총조사 통합시스템을 구축해 성공적인 실시 기반을 조성하고 비대면 조사기능 확대로 응답자의 편리한 조사 참여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행정자료 활용 확대와 자료처리 고도화를 통해 고품질의 통계를 생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다현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