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내 감염병 접촉자 '핀포인트' 특정...KIST, 실내측위 기반 고정밀 확인 시스템 구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안전증강융합연구단이 실내 측위를 기반으로 코로나19 등 감염병 환자 접촉 여부를 면밀하고 손쉽게 파악하는 기술을 구현했다. 이후 감염병 팬데믹 대응은 물론 다양한 산업 스핀오프 활용도 가능하다.

Photo Image
이택진 KIST 박사가 코로나19 접촉자 확인 시스템(CTS)에 활용되는 블루투스 비컨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택진 KIST 박사팀이 '코로나19 접촉자 확인 시스템(CTS)' 기술을 개발했다. 이 박사가 창업한 티제이랩스가 기술을 시스템화했다.

개발 기술은 스마트폰 블루투스를 활용한다. 적용 공간 내 블루투스 비콘, 전용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한 스마트폰이 신호를 주고받은 기록을 이용한다. 측위가 어려운 실내에서도 대상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기존에는 한 공간에 있었을 뿐 실제 멀리 떨어졌어도 애먼 사람이 접촉자로 분류되는 일이 빈발한다. 병원에 코로나19 환자가 생기면 실제 접촉 여부와 상관없이 병원 전체가 마비되는 일도 있다. CTS를 이용하면 이를 막을 수 있다.

이미 다중이용시설에서 그 효능을 입증했다. 지난 1월 2022 DB그룹 배드민턴 코리아 리그에 활용됐다.

이택진 박사 창업기업인 티제이랩스의 실내측위 기술 설명. 실내에서도 높이에 이르기까지 정확한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앞으로도 CTS 기술 활용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새로운 감염병에 대응해 사회적 비용과 혼란을 줄일 수 있다.

이외 산업에도 쓸 수 있다. 산업 안전 분야가 대표적이다. 격벽으로 막혀 있는 조선소 등 산업현장에서도 작업자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측위 고도가 급격히 바뀌는 것을 관측해 추락 사고를 감지하거나 오랜 기간 대상이 멈춘 상태를 살펴 실신 등 비상 상황을 알 수 있다. 부가 기술을 더해 작업자에게 현장 공기질 등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택진 박사는 “CTS는 다중이용시설 방역효율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한다”며 “산업현장 중대재해 피해를 막거나 건물 내 인원을 파악해 냉난방을 효율화하는 등 다양한 스핀오프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기술을 구현한 안전증강융합연구단(단장 김상경)은 의료시스템 지원기술, 산업현장 중대사고 예방 연구를 하는 곳이다. 특히 팬데믹 대응에 치중한다. 또 다른 감염병 위기에 국가적 대비가 필요한 가운데 관련 연구에 힘쓰고 있다.


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