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노벨상, 연구현장에 있다

우리나라 과학기술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이 성장하고 있다. 올해 독자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에 성공했고, 다누리를 통해 달 탐사에도 나섰다. 다음으로 국민이 기대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노벨상 수상'이다. 현택환·김빛내리 서울대 교수 등 국내 연구자들이 수년 전부터 노벨상 수상 기대를 모으고, 그래핀 연구를 선도한 김필립 미국 하버드대 교수도 있다. 더욱이 올해는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수학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했다. 이 때문에 '머지않아 노벨상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커졌다.

Photo Image
데릭 솔라 프라이스 메달

그러나 이번 노벨상 발표에서도 우리 연구자의 이름은 없었다. 누군가는 연구자를 탓할 수도 있지만 실제 우리 연구 현장이 충분히 역할을 할 수 있는 상황인지, 적절한 인정을 받고 있는지를 살펴야 한다.

기획재정부는 전 부처 공공기관 대상으로 '효율화'를 진행하고 있다. 철저히 경제 논리에 따른 조치다. 안타까운 점은 과학기술 부문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이나 정부 직할 연구기관, 과학기술원 등 연구 현장 역시 이 칼날로부터 피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감축과 축소, 효율화를 강요받고 있다.

연구 현장은 성역이 아니다. 불합리한 구석이 있다. 다만 효율화 대상으로 삼는 것은 온당치 않다. 연구는 매번 투입된 자원만큼 결과가 나오는 영역이 아니다. 실패의 가능성이 상존한다. 중요성을 저버리고 효율화 대상으로 삼는다면 끝은 좋지 못할 것이 자명하다.

문제는 기재부가 연구 현장을 다른 공공기관과 같은 잣대로 본다는 점이다. 미래를 위해 투자할 대상이 아니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한하고 깎아내릴 대상으로 보고 있다. 당연히 연구자는 도전을 꺼린다. 난도가 높지 않아서 성공이 보장된, 그러나 가치는 얕은 연구만 양산될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노벨상 수상을 기대할 수 있을까. 정부의 고민과 개선 실천이 필요한 시점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