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T 택시 배차 알고리즘, 차별 없다”

Photo Image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T 택시' 배차에 택시 종류, 목적지와 거리 등에 따른 차별적 로직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가 지난해 실태조사를 통해 제기한 가맹택시 콜 몰아주기 의혹과 상반된 내용이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올해 초 발족한 모빌리티투명성위원회(이하 위원회)는 6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6개월 동안 진행한 택시 배차 알고리즘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위원회는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대한교통학회가 추천한 전문가 5인으로 구성됐다. 김현 한국교통대 교수가 위원장이다. 위원회는 지난 4월 카카오모빌리티가 외부로 공개한 알고리즘이 실제 시스템에 반영돼 있는지를 조사했다. 운영서버 내 소스코드를 확인하고 17억건에 이르는 택시 콜 발송 이력 데이터를 전수 분석했다.

위원회는 택시 영업방식(가맹·일반·직영)과 승객이 호출한 영업거리(단거리·장거리) 등에 대한 차별을 뒷받침하는 로직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콜카드는 택시 영업방식이 아니라 승객에게 도착하는 예상 도착 시간(ETA) 등을 고려해 발송됐다. 일반 기사와 가맹기사 간 배차 수락률 차이는 일반 기사의 선택적 콜 수락 행태에 의한 차이라고 설명했다.

Photo Image
모빌리티투명성위원회가 카카오모빌리티 택시 배차 알고리즘 검증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왼쪽부터여화수 KAIST 건설및환경공학과 교수, 이진우 KAIST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 김현 한국교통대 교통에너지융합학과 교수(위원장), 김진희 연세대 도시공학과 교수, 김인희 공주대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교수.

일반 기사의 배차 수락률이 가맹 기사보다 낮은 이유는 기사의 선택 자유도 때문이라고 위원회는 해석했다. 자동 배차가 이뤄지는 가맹기사와 달리 일반 기사는 콜카드로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고 수락 여부를 결정한다. 일반 기사가 수익성 높은 장거리 콜을 선호해 골라잡으면서 수락률에 차이가 발생한 것이다.

택시 수요와 공급 불균형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심야시간 택시대란은 알고리즘 개선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진단했다. 다만 콜 수락률이 높은 기사에게 콜이 더 많이 배정되도록 알고리즘이 설계된 만큼 일반 기사의 수락률을 높일 수 있도록 카카오모빌리티가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위원회는 지금까지의 검증 결과와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최종 보고서를 작성한다. 김현 모빌리티투명성위원회 위원장은 “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택시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승객, 가맹기사, 운수사업자, 학계, 정부 등 각계 의견을 수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진형기자 j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