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소재 자립화 시동] 극한소재 실증인프라 구축 97% 동의... 산·학·연 전문가 조사

Photo Image
극한소재 산학연 전문가 조사 결과.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극한소재 산학연 전문가 조사 결과

한국재료연구원이 지난해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구축사업' 기획 과정에서 소재 산·학·연 전문가 211명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극한소재 실증연구 인프라 구축 필요성'에 97% 이상이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은 74.40%에 달했고 '필요하다'는 응답도 23.19%나 됐다. 극한소재 자립화는 국가안보를 비롯한 공공성과 직결된 만큼 국가 거대과학 시스템 구축 차원에서 극한소재 활용수요 충족을 위해서 대규모 실증연구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극한소재 실증인프라 국내 현황' 조사에서는 '매우 부족' 54.59%, '부족' 38.65%로 93% 이상이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실증인프라 집적화' 질문에는 '매우 필요함' 58.94%, '필요함' 39.61%로 거의 99%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우주항공, 국방, 에너지, 환경 등 여러 분야에서 극한소재 협력연구 기반을 마련하고 연구역량을 결집해 R&D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다.

Photo Image
한국재료연구원 첨단소재 실증연구단지 조성 계획.

'극한소재 실증인프라 구축 거점기관' 조사 항목에서는 '공공연구기관에 구축해야 한다'는 응답이 89%로 '기업에 구축해야 한다' 4.31%을 압도했다. 극한소재가 국가 거대과학 및 국가핵심기술과 관련성이 높은 만큼 국가적 임무를 부여받은 출연연과 출연연 간 연계·협력으로 대응 필요하다는 견해로 풀이된다.

대기업은 국내 실증연구 인프라 부재로 해외시험기관에 의존해야 하는 문제를 지적했고, 중소기업은 극한소재 개발과 실증을 위해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 간 협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출연연은 극한소재 R&D 성과의 산업 구현을 위해 실증 인프라 구축은 물론 보다 체계적인 실증연구 지원에 무게를 두었다.

대학은 극한소재 시험평가 인프라 부족으로 소재 특성 데이터 확보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창원=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