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농식품 미래 유망기술 발굴 팔걷는다

Photo Image
지난 달 열린 월드 IT쇼(WIS)에서 스마트팜 부스에서 관람객이 고단열 딸기 컨테이너팜을 살펴보고 있다.

정부가 나서 농식품분야 미래 유망 기술을 발굴에 힘을 쏟는다. 시장성이 높은 현장 적용기술에 투자해 농식품분야 산업화를 위한 전환점을 제시하기 위해서다. 탄소중립, 감염병 확산, 디지털·비대면 사회로 전환 등 대내외 여건이 변하면서 농식품 분야에서도 기존 복지 위주 지원을 벗어나 시장 경쟁 관점으로 접근하겠다는 의미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농식품 산업·기술동향 및 연구개발(R&D)에 대한 정책연구 용역 입찰을 이날 공고했다. 이번 연구 용역은 다음달부터 내년 4월까지 약 8개월 간 시행한다.

정책 연구는 농식품 2030년 미래이슈와 국내외 미래예측 등 관련 자료를 참고해 경제성과 시장성이 높은 현장 적용 기술분야를 발굴한다. 선정된 기술은 국정과제와 국가 R&D 정책 방향 등을 고려해 신규사업 기획으로 연계한다는 계획이다. 매년 3건 이상 기술을 선정할 예정이다.

농기평은 앞서 올 초 정책연구용역을 통해 파급효과가 큰 농림식품 7대 메가트렌드를 선정한 바 있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등 디지털 기술에 의한 농축산업 생태계 전반의 자동화 무인화를 구축하는 디지털 농업과 저탄소 농축산 기술로 농업과 축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는 탄소농업이 대표적이다.

이와 함께 농축산업 부문 태양광 등 재생가능한 에너지 사용을 확대하고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는 농업 신재생에너지, 수직형 농장 등 첨단 실내 농업시설에서 최적 재배환경으로 고품질 농산물을 공급하는 환경제어 농업, 블록체인과 생명공학 등 4차 산업혁명의 첨단기술로 농식품 안전관리와 유통체계를 혁신하는 스마트 농식품 안전유통 등을 꼽았다. 해당 분야에 따른 미래정책과 미래기술은 각각 101개씩 도출됐고 이는 향후 정책 방향에 활용된다.

또한 지난 2020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과 공동시범사업을 추진해 '데이터 농업의 미래' 주제를 선정하고 10년 후 요구되는 정책과 기술을 예측하는 선행 연구결과도 발표했다.

농기평 측은 “농산업 현장에 바로 적용 가능한 미래 유망기술을 발굴해 농식품 R&D 신규사업 기획에 활용함으로써 농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박효주기자 phj20@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