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러-우크라 사태' 대응 총력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실물경제를 전담하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실물경제대책본부'를 가동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에너지 원자재 가격 상승 상황 등을 매일 점검, 필요시 국제기구와 공조하는 등 대응 전략을 펼 계획이다. 에너지업계에서는 정유·발전업계를 위주로 원자재 가격 상승 등 파장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실물경제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첫 연석회의를 개최했다. 산업부는 향후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일일점검체계를 가동한다. 실물경제대책본부는 기존에 운영되던 '산업자원안보태스크포스(TF)'를 격상한 대응 조직이다. 박진규 산업부 제1차관이 본부장, 산업정책실이 운영하는 '산업정책반'이 총괄 대응을 맡는다. 산업정책반 아래 △에너지자원반 △통상협력반 △무역안보반이 각각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실물경제 현황을 매일 파악하고 대응책을 마련한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26일 제니퍼 그랜홈 미국 에너지부 장관과 원격 영상회의를 통해 에너지안보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27일 KOTRA에서 '우크라이나 비상대책반'이 운영하는 '무역투자24' 지원 현황을 점검했다.
산업부는 미국이 밝힌 대(對) 러 수출 통제로 인한 우리 기업 피해, 에너지 수급 차질, 공급망 교란 등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실물경제 타격 사항으로 보고 있다. 특히 에너지 원자재 수급 차질을 우리나라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이 가장 크다고 본다. 이미 유가와 액화천연가스(LNG)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영국 브렌트유는 23일(현지시간)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섰다. 100달러 상회는 2014년 이후 처음이다. 동북아시아 LNG 현물 가격지표인 JKM(Japan Korea Marker)은 같은 날 MMbtu당 28.965달러로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날 대비로는 11.58% 급등했다.
국내 정유·발전 등 에너지 업계는 유가와 천연가스 상승세에 비상이 걸렸다. 정유업계는 단기간 원유 재고 평가이익이 커질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휘발유 등 석유제품 가격 인상 여파로 수요 둔화가 불가피하다고 봤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정유사별로 원유 가격대별 대응 플랜을 구축했다”면서 “국제 유가가 어느 정도까지 오르는지에 따라 공장가동률 조정 등이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발전업계도 마찬가지다. LNG 가격 상승으로 전력도매가격(SMP)이 ㎾h당 220원대 안팎까지 올랐지만 각 발전사 수익은 갈릴 것으로 분석된다. LNG를 직수입하는 발전사와 그렇지 않은 발전사, 한국가스공사로부터 LNG를 개별 또는 평균 요금으로 공급받는지에 따라 실익이 다르다. 산업부는 석유·석탄·천연가스 원자재를 대체 도입해 대응한다. 석유는 미국·북해·중동산, 석탄은 호주·남아공·콜롬비아산, 천연가스는 카타르·호주·미국산을 대체 도입한다. 또 비축유 방출, 국제공동비축 우선구매권 확보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이 24일(현지시간) 대러 수출통제 강화 조치를 발표하면서 수출통제 대응에도 나섰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류태웅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