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산업, '제2 반도체' 육성 본격화
7월까지 684억원 규모 설비 투자
국산장비 우선 구매·판로 지원
정부, 임상 인허가 기간 단축키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원료의약품 수입 비중 백신·원부자재 분야를 '제2 반도체' 산업으로 키우기 위한 첫걸음은 자급률을 높이는 것이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백신은 물론 이를 만드는 재료와 장비 대부분이 외산이다. 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원료의약품 수입 비중은 86.7%에 달한다. 2021년 기준 국내 필수 백신 28종 중 43%만 자체 생산이 가능하다. 백신 제조에 필요한 배지, 필터 등 원부자재 역시 10% 내외만 국산이다.
정부는 올해부터 민·관 협력을 통해 백신과 원부자재 자급률을 높일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전면에 나섰다. 13일 서울 양재 코트라 본사에서 '백신·원부자재 기업투자 촉진회의'와 '10대 유관기관장 협의체 협력회의'를 공동 주재했다. 에스티팜, 한미정밀화학 등 백신·원부자재 기업 14곳은 정부 지원자금 180억원을 마중물로 자체 투자자금 504억원을 투입해 올해 7월까지 684억원 규모의 설비를 투자할 계획이다.
메신저리보핵산(mRNA), 바이러스벡터, 합성항원 등 다양한 백신 플랫폼 생산 역량을 갖추는 것이 목표다. 우리나라를 글로벌 백신 생산 기지화에 기여할 수 있다. 총 684억원 설비·장비 구매 자금 중 34%인 238억원 이상을 국산 장비 우선 구매에 써 국내 장비 업체 판로 지원과 경영 여건 개선을 도울 방침이다.
정부는 여기에 임상을 통해 국산 백신 상용화를 지원한다. 인체에 약품을 투여하는 임상은 백신 개발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로 꼽힌다. 막대한 자금과 긴 시간이 필요하다. 정부는 임상을 위한 인프라를 지원하고 인·허가 시간을 단축하는 방식으로 국산 백신 자급률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임상3상 시험을 위한 대조 백신 확보를 위해 개별기업 접촉 외에 WHO, CEPI 등 국제회의체와 해외정부 등 다양한 외교 채널을 통해 범부처 차원에서 총력 지원하기로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임상시험, 품목허가신청 전부터 관련 업체 자료(비임상, GMP, 품질, 임상시험계획서 등)를 사전 검토한다. 신청 즉시 우선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국산 백신 공급을 세계로 넓혀 백신 자주권과 시장 확보를 시도한다. 글로벌 파트너링(GP) 사업, 국내 3대 B2B 수출 플랫폼 연동, 바이오코리아를 통해 국내기업과 글로벌 기업을 매칭해 판로 개척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 밖에 선진국과 개도국을 포괄하는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 및 WTO·FTA 등 통상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출 지원을 대폭 강화한다.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백신과 원부자재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위해 우리 기업이 자체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겠다”면서 “글로벌기업 투자 유치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