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지원금·고용회복 효과…3분기 가구 소득 8% 늘었다

상위·하위 20% 소득격차 5.2배 수준…작년 대비 감소

Photo Image
서울 시내의 한 쇼핑몰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소득 하위 88%를 대상으로 지급한 국민지원금 효과로 3분기 전체 가구 소득이 증가하고 분배지표가 개선됐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분기 가계당 월평균 소득은 472만9000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8.0% 증가했다.

전체 가구 총소득 상승률은 가계동향조사 개편 전후를 모두 포함해 역대 최고 수준이었으며 저소득층에서 소득이 더 크게 상승했다. 소득 구성 항목별로 보면 근로소득은 295만4000원으로 작년 동분기 대비 6.2%, 사업소득은 88만5000원으로 3.7% 증가할 동안 이전소득은 80만4000원으로 25.3% 증가했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이번 분기는 고용 호조와 서비스업 업황 개선, 정부의 지원금 지급, 추석 명절 효과 등으로 인해 소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가구 소득이 감소하고 소득격차가 벌어졌던 2분기와 달리 3분기는 소득은 늘고 격차는 감소했다. 이는 정부가 하위 88%에 지급한 국민지원금 효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소득이 적은 가구일수록 이전소득으로 인한 소득 증가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분위별 공적이전소득의 총소득 개선 기여도는 1분위는 10.7%포인트(P)로 가장 높았고 2분위 5.1%P, 3분위 4.0%P, 4분위 2.8%P, 5분위 1.7%P로 집계됐다.

1분위(하위 20%) 가구 소득은 작년 대비 21.5% 증가했으며 이중 국민지원금이 포함되는 공적이전소득은 55만9000원이었다. 1분위는 처분가능소득도 91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7.7%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은 총소득에서 세금, 보험료와 같은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금액으로 가계의 실제 소비능력을 보여준다.

반면에 5분위(상위 20%)의 소득은 5.7% 증가한 1003만7000원으로 집계됐다. 이전소득은 81만3000원으로 전체 소득의 8%에 불과했다. 처분가능소득은 774만8000원으로 작년 대비 3.8% 증가했다.

고용 회복과 지원금 효과로 소득 하위 가구의 소득이 증가하면서 분배지표도 개선됐다. 3분기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배율은 5.34로 전년도의 5.92 대비 0.68배P 하락했다. 5분위배율은 숫자가 작을수록 분배지표가 개선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 국장은 “1분위는 60세 이상 고령층 비중이 큰 특성이 있다”며 “정부 공공일자리 사업으로 고령 취업자 수가 증가했고 지원금과 명절 효과로 공적사적 이전소득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3분기 가구당 처분가능소득은 377만3000원으로 작년 대비 7.2% 증가했다. 가계 흑자액은 122만9000원으로 작년 대비 12.4% 늘었고 흑자율도 32.6%로 1.5%P 상승했다. 다만 1분위 가구는 소득 증가에도 평균소비성향이 129.4%로 나타나 소득보다 지출이 더 많았다.

가구당 소비지출은 254만4000원으로 작년 대비 4.9% 늘었다. 비목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5.7%), 의류·신발(10.0%), 가정용품·가사서비스(7.2%), 교통(5.8%), 교육(6.9%), 음식·숙박(5.2%) 등 모든 비목에서 증가세가 나타났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3분기 소득·분배지표 개선에 안주하지 않고 내수 개선과 취약계층의 어려움을 경감하는 정책노력을 강화하겠다”며 “소상공인 손실보상의 신속한 집행, 비대상업종에 대한 지원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다현기자 da2109@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