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상대 빈곤율 OECD 37개국 중 4위

6명 중 1명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로 생활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중 네 번째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OECD에 따르면 2018~2019년 기준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은 16.7%로 조사 대상 37개국 가운데 4위를 기록했다.

상대적 빈곤율은 전체인구 중 기준 중위소득의 50%에 미치지 못하는 인구 비율을 의미한다. 상대적 빈곤은 해당 사회 구성원 대부분이 누리는 일정한 수준의 생활을 누리지 못하는 상태다.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이 16.7%라는 것은 전체 국민 6명 중 1명은 기준 중위소득의 50%에 미치지 못한다는 의미다. 올해 기준 중위소득 50%는 1인 가구는 91만4000원, 2인 가구는 154만4000원, 3인 가구 199만2000원, 4인 가구 243만8000원이다.

상대적 빈곤율이 한국보다 높은 나라는 코스탈리카(20.5%), 미국(17.8%), 이스라엘(16.9%) 등이다.

이 밖에 일본(15.7%), 이탈리아(14.2), 영국(12.4%), 캐나다(11.6%), 프랑스(8.5%) 등은 한국보다 낮은 상대적 빈곤율을 기록했다. 핀란드(6.5%), 덴마크(6.1%) 등 북유럽 국가와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 차이는 10%포인트(P) 가까이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 평균 상대적 빈곤율은 11.1%였다.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노인 빈곤율이 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인 43.4%(2018년 기준)에 달하기 때문이다. 이는 OECD 평균(15.7%)의 약 3배에 달한다.


최다현기자 da2109@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