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대(5G) 이동통신 가입자 2000만명 시대가 임박했다. 하지만 5G 기업(B2B) 서비스는 제자리걸음이다. 5G 스마트팩토리, 5G 자율주행, 5G 스마트시티 등 장밋빛 미래가 예상됐지만, 상용화 전 실증에만 그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G B2B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형 5G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도 이의 일환이다. 5G PPP는 5G 정보통신기술(ICT) 사업자와 다른 산업 사업자간 협업 체계를 구축, 공급과 수요를 전략적으로 연결하는 개념이다.
5G PPP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건 5G 공급망 구성이다. 5G 장비·단말·모듈·칩·애플리케이션 등 5G 산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업을 발굴하고, 기업이 제공 가능한 기술과 서비스 현황을 파악해야 한다. 5G가 상용화된 지 벌써 2년이 지났지만 이 같은 데이터가 없다는 점은 아쉽다.
5G 공급망 구성 이후에는 5G 서비스가 필요한 수요처까지 산업별로 파악해야 한다. 각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찾아야 5G 공급망을 통해 스마트시티, 재난·안전, 건강, 스마트팩토리 등 5G 버티컬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공급망을 수요처와 엮는 작업을 담당할 조직이 필요하다. 현재는 5G 수요·공급을 매칭할 조직이 없고, 인력과 예산도 부족한 실정이다. 새로운 조직을 꾸릴 수 있지만, 과기정통부 산하 다양한 협·단체에 예산과 인력을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5G PPP 개념을 최초로 제시한 유럽은 5G IA(인프라협회)를 주축으로 인프라, 디바이스, AI, 클라우드, 플랫폼 관련 기업 수천 개를 5G 공급망으로 확보하고, 다양한 수요기업과 연결해 5G 생태계라는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세계 최초 5G 상용화 진면목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5G B2B 융합 서비스가 출현해야 한다. 전담 조직을 통해 5G PPP를 단순 개념이 아닌 실제 활용될 수 있는 전략으로 구체화해야 한다.
정예린기자 yesl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