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이 인공지능(AI) 전문가를 보유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현재로선 AI 기술업체와 협업하거나 대학과 산학 협력을 추진하는 대안 밖에는 없습니다.”
조학수 윈스 부사장은 31일 온라인으로 열린 '제2회 AI 시큐리티 데이' 세미나 패널토론에서 AI 인력 양성을 강조했다. AI 기술이 보안 산업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지만, 이를 제대로 운용할 수 있는 인력은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날 행사는 국내 AI 보안 기술 현황을 살펴보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정수환 한국정보보호학회 AI보안연구회장의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한 AI 활용 전략' 기조연설에 이어 패널토론에서는 산·학·관 보안 전문가가 참석해 의견을 나눴다.
AI 보안을 위한 인력 수급과 데이터셋 공급 문제는 패널에 의해 반복적으로 언급됐다. 김의탁 이스트시큐리티 정보보호연구소장은 “AI 인력 수급이 굉장히 어렵고 인력을 자체 양성하기도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력 양성을 포함한 AI 보안 산업 육성과 발전 정책을 밝혔다. 정은수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산업과장은 “AI 보안 역량을 갖춘 국내 15개 기업을 선정해 시제품 제작부터 해외 진출까지 지원하고 있다”면서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AI 보안 인력을 연간 60명씩 양성에 시장에 공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데이터셋 확보 관해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추진 중인 사업 현황을 공유했다. 정 과장은 “침해사고 로그나 데이터, 악성코드 관련 데이터의 경우 일반 기업이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면서 “AI 보안 모델로 전환하기 위해 꼭 필요한 데이터셋을 KISA와 함께 제공하기 위해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사업은 연말까지 실증을 거쳐 데이터 품질을 개선한 뒤 내년부터 관련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진행될 예정이다.
폐쇄회로(CC)TV는 AI 보안 기술이 활발히 적용되는 분야로 소개됐다. 노승인 한화테크윈 상무는 “24시간 동작하는 CCTV 데이터는 사람이 직접 처리할 수 없는 수준”이라면서 “의미 있는 데이터만 추출하고 자동화하는 데 AI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 CCTV가 사회 안전에 활용될 수 있는 만큼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산업 기회가 많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학계에서는 AI 제품 자체의 프라이버시 이슈를 해결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최대선 숭실대 교수는 “AI 시스템 자체 보안과 프라이버시 이슈에 국내 관심이 저조하다”면서 “이에 관한 기술 연구와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날 행사는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KISA와 한국인공지능협회가 주관했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AI 기반 보안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면서 “'K-사이버방역' 추진전략을 통해 사회와 경제 전 분야에 촘촘한 침해사고 대응 체계를 갖추고 정보보호 산업을 디지털 경제와 비대면 시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오다인기자 ohda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