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연,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고효율 태양전지' 만든다

유리·봉지재 분리…회수율 100% 근접
공정 최적화로 전력 소모 3분의 1 줄여
폐패널 1톤당 CO21200kg 감축 효과
에이치에스티에 개발 기술 이전키로

Photo Image
에너지연 연구진이 유리를 분리, 회수하기 위해 태양광 폐패널을 개발장치에 넣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은 이진석 변환저장소재연구실 책임연구원팀이 수명을 다한 태양광 폐패널을 재활용해 회수한 소재로 고효율 태양전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개발 기술은 에이치에스티(대표 황성태)에 이전했다.

태양광 패널은 재활용 가능한 유리, 알루미늄, 실리콘, 구리 등으로 만들어져 최소 80% 이상 다시 활용 가능하다.

개발 재활용 기술은 프레임·정션박스 해체 자동화, 고순도 유리 분리, 유가금속 회수, 태양광 패널 재제조로 구성된다. 핵심 공정은 유리 분리다. 자체 개발한 장비를 통해 태양광 패널 내 유리와 봉지재(태양광 모듈 방어 역할) 계면을 분리시켜 100%에 근접하는 유리 회수율을 얻었다. 파손 패널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공정 최적화로 기존 개발 공정 대비 전력 소모를 3분의 1 이상 줄였다.

Photo Image
이진석 책임연구원(사진 왼쪽)과 이준규 연구원이 태양광 폐패널 회수 실리콘을 재활용해 만든 웨이퍼, 태양전지를 살피는 모습.

개발 기술은 비파쇄 방식으로 분리된 부품과 소재들이 섞이지 않는다. 철분 함유량이 200ppm 미만 고급유리를 고순도 회수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상용 72셀 대형 패널을 대상으로 테스트해 100%에 근접한 유리 회수율을 보였다.

연구진은 더 나아가 폐패널로부터 회수한 실리콘을 정제해 6인치 단결정 잉곳 및 웨이퍼를 만든 후 일반적인 태양전지 제작 공정을 통해 20.05% 고효율 태양전지를 재제조할 수 있었다. 재활용 웨이퍼 최적화 제작 공정을 적용한다면 더 높은 태양전지 효율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진석 책임연구원은 “태양광 폐패널 1톤을 재활용하면 이산화탄소 1200㎏을 감축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어 탄소중립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술”이라고 밝혔다.

황성태 에이치에스티 대표는 “태양광 산업에 종사하면서 폐패널에 대한 심각성을 느끼게 돼 사업화를 결정한 만큼 지속 투자와 기술력 향상으로 성공적인 사업화 모델을 만들 것”이라고 전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