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특화된 공공인프라와 인·허가 제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Photo Image
바이오플라스틱을 사용한 식품 포장제.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화이트바이오 연대협력 협의체' 간담회를 개최했다.

지난 4월 화이트바이오 연대협력 협의체 발족식에 이어 두번째로 개최된 이번 실무회의는 주요 바이오기업-화학기업 간 연구개발(R&D) 전략 공유와 협력 강화를 위해 열렸다.

회의에서 화이트바이오 글로벌 정책 및 산업동향 발표, 기업별 주요 R&D 전략 및 계획 공유, 화이트바이오 산업 관련이슈 및 애로사항에 대한 패널토의 등이 진행됐다.

주정찬 카톨릭대학교 교수는 '화이트바이오 글로벌 정책 및 산업동향' 발표에서 세계 바이오플라스틱 시장은 2018년 29억달러에서 2023년 39억달러로 5년간 34%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EU 등을 중심으로 환경규제 강화와 동시에 R&D 등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국내의 경우 화이트바이오 산업 형성 초기단계로 일반 플라스틱 등 기존 석유계 제품 대비 2~3배 높은 가격, 좁은 내수시장 등으로 대규모 투자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 교수는 화이트바이오 관련 40개 기업을 대상으로 주요이슈 및 지원 필요사항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화이트바이오 산업에 특화된 공공 인프라 구축, 인·허가 제도 개선 등이 산업 육성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꼽혔다”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기업 관계자는 “화이트바이오 산업 육성을 통한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을 위해서는 과기부, 환경부 등 타 부처와의 적극적 업무협조를 통한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유전자가위 등 위해성이 낮은 바이오신기술 적용 산물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규제 합리화 및 제도개선을 통해 신기술, 신소재 개발을 촉진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박재영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은 “탄소 기반 화학산업에 바이오 기술을 접목하는 화이트바이오 산업은 바이오기업과 화학기업 간의 연대와 협력이 반드시 필요한 융합 신산업”이라며 “정부도 바이오플라스틱 실증사업 및 바이오기반 차세대 소재기술 개발 등을 추진해 초기시장 창출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