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소부장 기업들이 국내에 연구개발(R&D) 기능을 두면서 한국이 '세계 R&D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램리서치, 머크, 듀폰 등 세계적 소부장 업체들의 R&D 기지가 몰려드는건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에 소재·부품·장비 공급을 위해서다.
특히 일본 수출 규제 조치 이후 국산화 기반으로 공급망 다변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 R&D 기지를 기반으로 반도체 대표 기업들과 반도체 사업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일본 대(對)한국 수출 규제 후 2년이 지나고 한국이 다국적 기업들의 세계 R&D 본부로 전환하고 있다. 미국 램리서치는 초미세 반도체를 제조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식각 기술 R&D 센터를 구축한다. 삼성전자 화성 사업장, SK하이닉스 용인 사업장 인근에 R&D 센터를 두고 반도체 공정에 최적화된 장비를 개발할 수 있게 됐다.
독일 머크도 평택에 한국첨단기술센터를 열었다. 센터는 반도체 웨이퍼 회로를 평평하게 하기 위한 화학 소재 화학처리기계연마(CMP) 연구와 CMP 공정에서 발생한 오염원을 제거해 웨이퍼 결함을 최소화하는 포스트-CMP 클리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미국 화학 소재 기업 듀폰은 천안에 극자외선 포토레지스트(PR) 생산 공장을 구축한다. EUV용 PR는 일본 수출 규제 품목으로 일본 의존도가 높았다. 듀폰은 일본 조치 이후 한국의 투자 유치로 EUV용 PR 공급망 진입에 나서고 있다.
일본 소부장 업체도 한국에 생산 거점을 마련하고 있다. 일본 반도체 장비 회사 A사는 R&D 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국내 반도체 업체들 지근 거리에 핵심 거점을 마련하고 밀착 협력하며 차세대 반도체 장비를 개발을 위한 R&D를 추진한다.
소부장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소부장 기업들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최종 커스터머 인근에 위치해 있어야 대응을 빨리할 수 있다”며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품질 트러블을 최소화, 생산성 및 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여파로 미국을 중심으로 공급망 변화가 크게 일면서 국내 반도체 생태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천 기술 개발은 자국 R&D 거점에서 충분히 가능하지만 세부적 연구개발 방안은 국내 기업들과 긴밀히 협력해야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이진균 인하대 교수는 “글로벌 소부장 기업들은 세계적 반도체 기업들의 생산 거점 인근에 R&D 핵심 기능을 두려 한다”며 “소부장 기업들이 국내 반도체 업체들과 최적화된 R&D 과제 등 연구개발을 세부화할 수 있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지웅기자 jw0316@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