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헌·당규상으론 9월에 후보 선출
이재명계 "국민과 약속…연기 안될말"
非이재명계 "야권과 경쟁위해 신중해야"
지도부, 오늘 의총 소집해 결정하기로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경선 시점을 둘러싸고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원팀'을 강조하는 민주당이 둘로 쪼개진 양상이다. 원칙론을 주장하는 이재명계와 경선 연기를 강조하는 비(非)이재명계의 설전이 이어지고 있다. 결국 지도부가 22일 의원총회를 소집해 의견을 듣고 결정하기로 했지만 여론전이 뜨거워지고 있다.
당 지도부인 전혜숙 최고위원은 21일 공개적으로 경선 연기를 주장했다. 이낙연계인 전 최고위원은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 경선 시기를 조정해야 한다”며 “우리의 최종 목표는 우리 중 누군가의 경선 승리가 아닌 더불어민주당 모두의 대선 승리여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대통령 후보자의 선출은 대통령 선거일 전 180일까지 해야 한다'고 나와 있다. 대선은 내년 3월이다. 대선 180일 전인 9월에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 그러나 이 조항을 두고 후보 선정이 너무 이르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전 최고위원은 “경선 시기를 조정해야 할 이유, 첫째는 코로나라는 국가재난 상황을 맞고 있기 때문”이라며 “집단면역이 형성된 가운데 많은 당원과 국민 속에서 대선 경선을 치르고 대선 승리를 해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여야의 경선 시기가 비슷해야 한다”며 “너무 빨리 우리 후보를 확정하면 상대는 우리 후보에 대응할 시간이 충분하고 우리는 그렇지 못하다. 그 차이가 며칠이면 몰라도 3개월 정도가 돼선 곤란하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당헌·당규에 대선 4개월 전 대선 후보를 선출하도록 돼 있다. 그 시한은 11월 9일이다. 이 때문에 민주당도 11월 정도로 미루자는 주장이다.
이낙연 전 대표는 이날 오전 '다시 시작하는 남북합의 이행' 토론회에 참석했다 기자들에게 “늘 하던 이야기에서 변화 없다. 누구나 개개인의 유불리를 뛰어 넘어서 정권 재창출 위한 충정에서 의견을 말하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도 이날 오전 한 라디오에 출연해 “코로나 사태도 그렇고, 선거라는 건 상대가 있는 것이다. 상대가 어떻게 하느냐와 보조를 맞추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며 “그런 차원에서 보면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연기하는 게 바람직하겠다는 게 제 생각”이라고 말했다.
반면 원칙론을 주장하는 이재명계는 이를 두고 반박하고 있다. 성공포럼 공동대표인 김병욱 의원은 페이스북에 “국민과 약속을 지키는 정치를 해야한다”며 “작년 8월 대통령 후보 선출 180일 규정을 당 대의원대회에서 합의를 통해 결정했는데 1년도 지나지 않아 이를 뒤집는 것은 당원과 국민에 대한 약속을 저버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당이 당의 헌법인 당헌을 손바닥 뒤집듯 바꾸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에 대해 국민 여러분이 어떻게 생각할지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이재명계 대표 의원은 “경선 연기는 절대 안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당내 경선 일정과 관련된 갈등을 두고 민주당 지도부는 22일 의원총회를 열어 의견을 더 수렴하고 논의키로 했다. 당내 대립이 치열해 지면서 추가 논의를 하기로 한 것이다. 송영길 대표는 현행대로 당의 대통령 후보를 6개월 전 선출하는 원칙론에 무게를 둔 것으로 알려졌다.
대선 주자별로도 경선 시기를 두고 입장이 다르다. 이낙연 전 대표·정세균 전 총리·이광재 의원·최문순 강원도지사 등은 경선 연기를 주장한다. 반면 이재명 경기도 지사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박용진 의원은 원칙론을 강조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