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성남·경남 등 10곳 드론 실증.. 캠핑장 드론 배송, 산사태 빅데이터 수집

Photo Image
두산기술원의 수소연료전지 드론 <전자신문 DB>

강원도 영월 캠핑장에서 드론으로 배송을 하고 경상남도에서는 산업단지 유해화학물질을 드론이 측정한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드론 실증도시로 강원도 영월군, 경기도 성남시 등 10개 도시를 선정하고, 드론 규제샌드박스 13개 사업자를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드론실증도시와 규제샌드박스는 규제 없이 자유로운 실증을 통해 드론을 활성화하고 복합적인 도시 문제에 대응해 나가기 위해 추진한다.

올해 드론 실증도시에는 △강원 영월 △경기 성남 △경남도 △광주광역시 △대구 수성구 △대전 △세종 △울산 △전북 진안 △충남 서산 등 10개 도시가 선정됐다.

'드론 규제 샌드박스' 사업자로는 유비파이, LIG넥스원, 피스퀘어, 나르마, 엑스드론, 무지개연구소,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니어스랩, 카르타, 리하이, 스마티, 지텔글로벌, 한국법제연구원 등 13개 기업이 선정됐다.


국토부는 드론실증 도시를 2019년 2개소, 2020년 4개소에 이어 올해 전국 10개 도시로 대폭 확대 선정했다. 올해부터 드론 실증도시는 '드론 특별자유화구역'과 연계하도록 해, 각 지자체에서 요구하는 드론 서비스를 비행승인, 안전성 인증 등 규제없이 자유롭게 실증하도록 했다. 국토부는 각 지자체마다 10억원 내외의 실증소요 예산을 지원한다.

경남에서는 드론을 활용해 산업단지의 유해화학물질을 감시하고 3D 모델링 수행 및 산사태 예측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전북진안에서는 드론을 활용해 비대면 관광 실시간 중계 플랫폼을 구축하고 축산시설 악취 모니터링도 실시한다.

'드론 규제 샌드박스' 사업으로는 글로벌 피자 체인과 연계한 피자배달 서비스 상용화, 드론 방호시스템 고도화, 실내공간 자율비행, 악천후 환경 드론 운용, 도서지역 혈액 배송, 건설현장 공정관리 등을 목표로 실증이 진행된다. 실증에 소요되는 비용은 컨소시엄별로 1억∼3억원 내외로 지원하고, 실증 결과에 따라 관련 규제 개선안도 도출할 계획이다.

Photo Image
드론실증도시 사업자 협약식

국토교통부와 항공안전기술원은 관련 지자체와 드론기업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2021년도 드론 실증도시 및 규제 샌드박스 사업 협약식을 5월 21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개최했다.

윤진환 국토교통부 항공정책관은 “드론 실증도시와 같은 실증지원 사업을 비롯한 정책지원을 통해 드론의 활용시장이 넓어지고 우리 드론기업들이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도시 내 드론활용에 있어 최대 위협요소는 드론의 안전사고”라고 강조하면서 각 지자체와 참여기업들의 철저한 안전관리를 당부했다.


<2021 드론 실증도시 선정 지자체별 사업 개요>

영월·성남·경남 등 10곳 드론 실증.. 캠핑장 드론 배송, 산사태 빅데이터 수집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