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교육 환경에서 고등교육 및 학사 인력은 세계 상위권 수준이지만 전문 분야별 석·박사 급의 인력 배출 수준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석·박사급 연구인력 양성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2/1367574_20201221120827_939_0001.jpg)
국회입법조사처는 21일 '청년층의 교육 이수 현황과 시사점'을 다룬 '지표로 보는 이슈' 보고서를 발간하고 청년층의 석·박사급 이수율이 OECD 국가 중 33위인 3%에 그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25~34세 청년층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2019년 기준 69.8%으로 OECD 국가 가운데 두 번째로 높고, OECD 평균 45.0%에 비해 24.8%포인트(P) 높은 수준이다. 2019년 청년층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2009년 대비 9.2%P 높아져 OECD 평균 상승폭인 8.7%P에 비해 더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고등교육 이수자의 고용률은 76%로 OECD 평균인 85%에 비해 낮았다. 산업구조 변화와 경제성장률 저하로 인해 좋은 일자리 창출 부족, 공공부문과 대기업 취업을 위한 준비기간 장기화, 전공분야와 직업 간 높은 불일치율 등이 이유다.
학사급 이상 이수율은 49%로 OECD 국가 중 다섯 번째로 높다. 다만 학문분야별 핵심 연구인력에 해당하는 석·박사급 이수율은 3%에 불과하다. OECD 평균 15%보다 12%P 낮은 수준으로 조사대상 44개국 중 33위에 그쳤다.
고등학교 이상 교육 이수율, 고등교육 이수율, 학사학위급 이상 이수율 모두 OECD 국가 중에서 최상위권 수준이나 석·박사급 이수율은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상황이다.
입법조사처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우수 연구인력의 양성과 청년층의 인적자원 수준이 한 국가의 혁신과 경제성장을 결정하는 요소라는 점에서 교육 이수율을 중요한 지표라고 설명했다. 이에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정부가 학문·신산업 분야별로 석·박사급 우수 연구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중장기 인력수요 및 공급 등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핵심 연구인력 수급의 구조적인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부와 관계부처, 대학교 및 산업계 등이 협력해 중장기적인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