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2/1361839_20201203094819_901_0001.jpg)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인공지능(AI) 대학원,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등을 통해 2025년까지 핵심 인재 10만명을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디지털 전환 선도를 위한 소프트웨어 진흥 실행전략'을 두고 이같이 말했다.
홍 부총리는 소프트웨어기업 성장 지원 방안을 위해 “창업-성장-해외진출 단계별로 소프트웨어 드림타운과 같은 공간과 함께 마케팅 및 네트워킹, 해외 현지화를 지원하겠다”며 “내년에 민간투자형 소프트웨어 사업 제도를 도입해 공공사업에 대·중소기업 동반 진출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내년에 200억원을 투입해 140개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고 33억원 규모의 지원금도 들여 소프트웨어 기업의 해외 현지화도 도울 계획이다. 2021∼2023년에는 소프트웨어 드림타운도 조성한다.
이와 별개로 2025년까지 지역 소프트웨어산업을 선도할 기업 100개를 육성해 연구개발 등을 지원하고, 5개 이상의 지역 소프트웨어 클러스터를 소프트웨어 진흥단지로 전환하기로 했다.
아울러 홍 부총리는 “2025년까지 파운드리 글로벌 시장 점유율 25%, 미래차 133만대 보급, 바이오헬스 수출액 300억달러라는 목표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우선 “빅3 산업 집중 점검·육성을 위해 경제부총리가 위원장을 맞는 별도의 민관 합동 회의체로 소규모 혁신성장전략회의 성격의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를 마련하고 격주로 정례 개최하겠다”고 말했다.
재정금융세제 지원, 규제 혁파, 빅3 산업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혁신 성장 성과가 가시적으로 체감될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할 계획이다.
화이트바이오 산업은 친환경·탄소 저감을 위한 산업적 대안도 제시했다.
범부처 바이오 혁신TF에서 제시한 10대 핵심과제 시리즈 대책의 하나인 화이트바이오 산업은 식물 등 생물 자원을 원료로 산업용 소재나 바이오 연료 등의 물질을 생산하는 산업을 가리킨다.
정부는 친환경 소재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를 위해 3년간 최대 3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바이오화학 소재 공인인증센터(울산), 바이오 융합소재 산업화 지원센터(충북) 등을 통해 아이디어를 상용화할 수 있는 인프라도 구축한다.
유재희기자 ryu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