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출구 찾은 아시아나항공, 3분기 58억원 흑자 기록

Photo Image

대한항공과 통합이 추진되는 아시아나항공이 코로나19에도 2개 분기 연속 흑자를 냈다. 저조한 국제선 여객수요를 고강도 자구노력과 화물 사업 주력으로 극복했다.

아시아나항공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 3분기 실적으로 매출 7311억원, 영업이익 58억원, 당기순이익 23억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한 입국제한 영향이 지속되며 국제선 여객은 매출이 전년 대비 83% 감소했지만, 화물은 매출이 확대되며 전년 대비 54% 늘었다.

화물 부문은 △IT △진단키트 △의약품 등 운송이 활발히 이뤄지며 4845억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아시아나항공이 화물 수요가 높은 지역을 분석해 항공기를 투입한 성과다. 미국과 동남아 매출이 각각 64%, 79%까지 상승했다.

또 세계 최초로 A350-900 여객기 2대를 화물기로 개조 운영해 1대당 23톤 추가 공급력을 확보하고, B777-200ER 여객기 3대의 하부 벙크(Bunk) 공간을 분리해 밸리 수송 공간을 확대해 화물 공급력을 늘렸다.

아시아나항공은 화물의 성수기인 4분기에도 화물기 가동률을 높이고 화물 수요를 적극 유치할 방침이다. 향후 코로나19 백신과 의약품 수송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백신 운송 표준 절차 제작, 인천화물서비스터미널 특수컨테이너 충전 시설 확충 등 만반의 준비를 다하고 있다.

국제선 여객기 정기편 운항률은 전년 대비 83% 감소했으나 베트남, 중국 등 특별 전세기 운항, A380 한반도 일주 비행 특별 관광상품 기획 등을 통해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또 장기 주기된 항공기 중정비를 조기에 수행하고, 외주 정비를 자체 정비로 전환해 비용을 절감했다.

아시아나항공은 “3분기 영업 흑자 유지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위기 극복을 위해 자구노력에 적극 동참해준 직원들 덕분”이라며, “4분기에도 화물 영업력 확대, 기업 전세기 유치 등을 지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진형기자 j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