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0/1342055_20201004124148_308_0001.jpg)
개인형 이동수단(PM)인 공유 전동 킥보드 이용이 늘어나면서 사고율도 매해 높아지고 있다. 킥보드 관련 교통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PM 안전 제고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4일 정동만 국민의힘 의원이 도로교통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PM 교통사고와 인명 피해는 매년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자는 2019년에 총 8명이나 됐다.
PM은 전동 킥보드, 전동 스케이트보드 등 시속 25km 미만의 1인용 교통수단이다. 고고씽, 씽씽, 라임, 다트, 지빌리티 등 다양한 서비스가 나왔다.
PM 사고는 2017년 117건(사망 4명, 부상 124명)에서 2018년은 225건(사망 4명, 부상 238명)으로 늘었다. 2019년에는 사고 447건(사망 8명, 부상 473건)으로 증가세가 가파르다.
사고 통계는 2019년까지로, 2020년 말이 돼야 올해 통계 집계가 가능하다.
지역별로는 업체가 공유형 서비스를 집중 제공하는 서울과 경기 사고율이 가장 높았다. 도심과 같이 혼잡한 지역에서는 PM이 일반 차량 대비 교통체증 문제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에 이용률이 높다.
사망자 수는 서울이 2명, 경기 8명, 대전 1명, 경북 1명이었다. 서울과 경기는 사고율이 전체의 57%를 차지했다. 서울은 2017년 29건에서 2018년 50건, 2019년 134건으로 급증했다. 2019년에는 전체 사고의 30%였다. 경기 역시 2017년 27건, 2018년 59건, 2019년 122건으로 늘었다. 2019년 기준 27%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대전이 많았다. 대전이 2017년 8건, 2018년 10건, 2019년 34건이었다. 대구는 2017년 9건, 2018년 12건, 2019년 25건이었다. 경북은 사고 건수가 3년치 합계 25건 밖에 되지 않지만 사망 사고가 1명 있었다.
세대별로는 2030세대 사고가 많았다. 2019년 기준으로 10대는 59건, 20대는 156건, 30대는 97건이었다. 이밖에 40대 52건, 50대 46건, 60대 33건으로 나타났다. 2030세대가 전체의 56%를 차지했다.
전동킥보드 수는 점점 늘고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 퍼스널모빌리티 산업협의회 소속 업체 11곳의 공유 전동킥보드 수는 총 1만7130대였다. 개인이 소장한 기기까지 집계하면 이보다 더 많다. 김희국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서울시 전동 킥보드는 올해 8월 기준 3만5850대다. 이는 서울만 집계된 것이다. 코로나19 감염을 피하기 위해 대중교통 대신 킥보드를 이용하는 사례가 늘면서 전국적으로 킥보드 수가 더 증가했을 것으로 보인다.
킥보드는 편리한 이동수단이지만 문제는 안전이다. 오는 12월 10일부터는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만 13세 이상 미성년자도 전동킥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앞으로 10대의 PM 사고가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 의원은 “이용자 측면에서는 개인형 이동수단 판매 및 공유킥보드 대여 시 교육 의무화 등을 포함한 교육과 홍보 강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20~30대가 전체 사고 발생건수의 과반을 차지해 이들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개인형이동수단(PM) 교통사고 및 인명 피해 현황
![전동 킥보드 사고 2030이 절반…대여시 안전교육 의무화 필요](https://img.etnews.com/photonews/2010/1342055_20201004124148_308_T0001_550.png)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