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늘어난 월성 원전 사용후핵연료…맥스터 증설 행정절차 마무리 시급

Photo Image
월성 원전 맥스터 <자료 한국수력원자력>

정부가 월성 원전 2단계 조밀건식저장시설(맥스터) 증설에 관한 정책 권고를 앞둔 가운데 월성 원전 사용후핵연료가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 의견 수렴을 절차를 끝낸 맥스터 증설에 속도를 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월성 2~4호기에서 사용후핵연료는 총 3216다발 발생했다. 이는 1분기 2504다발보다 712다발 증가했다. 지난해 1분기(4072다발) 이후 월성 원전에서 가장 많은 사용후핵연료가 만들어졌다.

지난 4월 월성 3호기가 재가동하면서 사용후핵연료가 다시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월성 3호기는 지난해 9월 계획예방정비 후 지난 4월에 재가동했다. 이에 따라 월성 3호기에서는 지난 2분기 사용후핵연료가 944다발 발생했다.

사용후핵연료가 다시 늘어나면서 월성 원전 맥스터 증설 작업 착수 시점에도 다시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는 지난 4월 월성 원전 맥스터 포화시점이 2022년 3월로 예상된다는 내용의 방사성폐기물학회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한수원은 맥스터 건설에 19개월 걸리는 점을 감안해 이번 달까지는 맥스터 증설에 돌입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이달 안에 맥스터 증설에 착공하지 못하면 사용후핵연료 포화를 감당할 수 없다는 의미다.

산업부에서 맥스터 증설에 관한 정책을 경주시에 권고하는 과정이 남았다.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는 지난달 24일 월성 원전 맥스터 증설을 포함한 주민 의견 수렴을 끝내고, 산업통상자원부에 의견 수렴 결과를 전달했다.

한수원은 산업부가 경주시에 맥스터 증설 결정에 관해 권고하면 경주시 양남면에 공작물 축조 신고를 하고, 맥스터 증설을 시작할 계획이다. 하지만 아직 정부가 정책 결정을 권고하지 않은 상태에서 남은 행정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

산업부는 탈핵 시민단체와 울산 지역 주민 등 맥스터 증설에 관한 부가적인 의견 수렴을 추가적으로 거친 후 정책을 결정할 방침이다. 맥스터 증설 공론화 과정에 참여를 하지 않은 이해관계자 의견까지 수렴한 후 맥스터 증설에 관한 수용성을 확보한다는 취지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한 후 정책을 결정할 예정”이라면서 “정책 권고 시점은 이번 달을 넘기지 않으려고 한다”고 밝혔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