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사각 지대 없앤다...디지털 포용 추진

Photo Image

2022년까지 주민센터·마을회관 등 공공장소 4만1000곳에 공공 와이파이가 설치되고, 도서·벽지 등 농어촌 1300여개 지역에 초고속인터넷망이 구축된다.

주민센터·도서관·과학관 등 생활 SOC를 '(가칭)디지털 역량 센터'로 선정, 디지털 기본역량 교육을 실시한다.

정부는 22일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개최, 이 같은 내용의 '디지털 포용 추진계획'을 의결했다.

취약계층을 포함한 국민 누구나 디지털을 활용해 경제활동을 영위하고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정보격차를 해소하려는 취지다.

정부는 와이파이·초고속인터넷 네트워크를 확장, 우리나라 어디서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디지털 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고령층·장애인에게 필요한 스마트 기기와 통신료를 지원하고 취약계층 학생에는 스마트 기기와 수과학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취약계층을 위한 행정민원 서비스 이용환경도 조성한다.

올해부터 스마트 패드, 스마트미러 등 지능정보기술을 민원 서비스에 선제적으로 적용하여 취약계층도 쉽게 민원창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디지털 교육 체계도 구축한다.

연간 1000곳 생활 SOC를 순환 운영하되, 접근하기 어려운 중증 장애인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일 대 일 방문 교육을 실시한다.

정부는 올해 4000명을 대상으로 방문 교육을 시작해, 2022년 이후 1만명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국민 누구나 디지털 역량 수준진단하고 수준별·상황별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온라인 기반 디지털 교육 체계 '(가칭)디지털 역량 교육 통합 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전 국민의 SW·AI 역량 강화를 위한 온·오프라인 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온라인 AI교육 콘텐츠를 개발·활용하고, 도서관, 박물관, 과학관 등에서 다양한 AI체험교육도 제공한다.

취약계층을 위한 포용적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도 확산한다.

노인·장애인 대상 댁내 또는 집단거주시설에서 비대면 디지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호흡·맥박·활동 감지 센서 10만대를 보급한다. 양로·장애인 시설에는 올해 100곳을 시작으로 2022년 612곳으로 늘린다.

취약 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취약 계층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고, 포용적 일자리를 창출한다.

정부는 디지털 포용사회 구현을 위해 민관 협력도 강화한다. 디지털 포용 기업 간 자원·기술·노하우 등을 공유할 수 있는 '디지털 포용 기업 얼라이언스'를 구축, 민간 주도 디지털 포용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디지털 포용 세상 구현을 위해 범부처가 디지털 환경 정비에 노력할 것”이라며 “언택트 시대를 맞아 전 국민이 소외 당하지 않고 기술을 영위할 수 있도록 디지털 격차 해소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