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읽는 비중 늘고 종이책 비중 줄었다

Photo Image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전자책 독서 비중이 늘어난 반면 성인 종이책 독서 비중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만 19세 이상 성인 6000명과 초등학생(4학년 이상) 및 중·고등학생 3000명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1년간(2018년 10월~2019년 9월) 성인 종이책 연간 독서율은 52.1%, 독서량은 6.1권으로 2017년 대비 각각 7.8%포인트, 2.2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독서율은 지난 1년간 교과서나 수험서, 만화 등을 제외한 일반도서를 1권 이상 읽은 사람의 비율이다. 독서량은 지난 1년간 읽은 일반도서 권수다.

초·중·고교생의 경우 종이책 연간 독서율은 90.7%, 독서량 32.4권으로 2017년과 비교하면 독서율은 1.0%포인트 감소했으나 독서량은 3.8권 증가했다.

전자책 독서율은 성인 16.5%, 학생은 37.2%로 2017년보다 각각 2.4%포인트, 7.4%포인트 증가하는 등 모두 증가 추세를 보였다. 특히 20∼30대 중심으로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도에 처음으로 조사한 오디오북 독서율은 성인 3.5%, 학생은 평균 18.7%(초등학생 30.9%, 중학생 11.6%, 고등학생 13.9%)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이 독서하기 어려운 이유로 제일 많이 꼽은 것은 성인의 경우 '책 이외의 다른 콘텐츠 이용'(29.1%)이었다. 2017년까지 가장 많은 사람이 꼽았던 '시간이 없어서'를 밀어냈다. 디지털 환경에서 매체 이용 다변화가 독서율 하락 주요 원인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

2019 국민 독서실태 조사 보고서는 문체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