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부담 덜고 자영업자 상생 도모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02/1272075_20200213183315_122_0001.jpg)
종량세 전환에 따라 맥주 출고가를 한차례 인하했던 롯데주류가 생맥주와 위스키 가격도 인하한다. 롯데주류는 이번 출고가 인하로 지속적으로 위축되고 있는 국내 주류 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고 자영업자와 상생 행보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주류는 17일 '클라우드' 생맥주와 '피츠 수퍼클리어' 생맥주, 330㎖ 병 제품의 출고가를 최대 8.1~13.5% 인하하고 주력 위스키 브랜드 '스카치블루'와 '에스코트'의 출고가를 최대 8% 인하한다.
클라우드 생맥주 20L 용량의 1통(케그)의 경우 기존 3만7000원에서 3만2000원으로 13.5% 인하된다. 피츠 케그는 기존 3만430원에서 2만7387.4원으로 10% 인하되고 피츠 330㎖ 병은 828원에서 761.38원으로 8.1% 인하된다. 종량세 시행으로 생맥주 세금은 기존 519원에서 830원으로 59.9% 올라 세부담이 늘었음에도 가격을 인하하는 승부수를 던진 것이다.
이를 통해 롯데주류는 자영업자와 상생 행보를 강화하고 국산 맥주 소비를 촉진을 도모한다는 입장이다.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술 소비가 줄어들자 주류도매상은 물론 영세 자영업자들 가계가 힘들어지고 있어 고통을 분담한다는 차원에서 출고가를 인하했다는 설명이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02/1272075_20200213183315_122_0002.jpg)
위스키는 '스카치블루 인터내셔널' 350㎖와 450㎖는 각각 1만9063원에서 1만8480원, 2만6345원에서 2만4233원으로 인하된다. 인하율은 각각 3.1%, 8.0%다. '스카치블루 스페셜' 450㎖는 4만40원에서 3만6839원으로 8%, '에스코트' 450㎖는 2만4420원에서 2만2385원(7.5%), '에스코트17'은 3만7400원에서 3만5530원(5.0%)로 조정된다.
롯데주류는 위스키 출고가 인하로 소비자 부담감을 덜고 도·소매업체와 상생을 도모해 침체된 위스키 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겠다는 각오다. 국내 위스키 시장은 주류 트렌드 변화와 접대 문화 쇠락 등으로 10년 넘게 내리막길을 걷고 있지만 위스키 시장 저변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는 것이다.
또한 국세청의 '주류 거래질서확립에 관한 명령위임 고시 개정안' 시행을 앞두고 있는 만큼 음성적 거래 차단으로 투명한 주류거래질서 확립을 위한 의도도 깔려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02/1272075_20200213183315_122_0003.jpg)
롯데주류 외 위스키 업체들도 앞다퉈 출고가를 인하하고 있다. 골든블루는 지난해 8일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와 '팬텀 디 오리지널' 등 주력 제품 4종의 출고가를 최대 30% 낮춘데 이어 지난 6일 '골든블루 더 다이아몬드'의 출고가를 7.1% 인하했다.
드링스인터내셔널은 지난해 8월 '임페리얼 스무스 12', '스무스 17' 제품의 가격을 15% 낮춘데 이어 같은해 11월 '임페리얼 12년'과 '임페리얼 17년', 저도주 '임페리얼 35'의 가격을 최대 21.5% 인하한 바 있다.
업계 1위 디아지오코리아도 지난해 8월 로컬 스카치 위스키 브랜드 '윈저'와 저도주 'W' 시리즈, '딤플' 등 주력 제품의 출고가를 최대 8.5% 인하했다.
반면 경쟁사들이 출고가를 인하하고 있음에도 인터내셔널 위스키 브랜드를 수입/판매하는 페르노리카코리아는 오히려 가격을 인상했다. 페르노리카코리아는 지난해 8월 '발렌타인', '로얄살루트' 등 주요 제품의 업소용 출고가를 평균 6.3% 인상했고 11월 가정용 제품의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발렌타인 싱글몰트 15년'의 경우 25.3% 인상돼 가장 높은 인상률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주류 시장은 주류 트렌드 변화에 따른 술 소비 감소와 종량세 전환, 주류 고시 시행 등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며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으로 출고가를 낮추는 업체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주현기자 jhjh13@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