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시스템반도체 등 BIG3 지원부터 R&D, 정책자금까지 1~2월 지원사업 쏟아진다

Photo Image

시스템반도체·바이오헬스·미래차 등 빅3 분야 250개 기업에 대한 선정 작업이 23일부터 시작된다. 중소기업 주요 육성 분야를 맞춤형으로 지원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처음으로 시작하는 지원사업이다. 지난해 일본으로부터 기술 독립을 위해 실시했던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분야 '강소기업 100' 선정 사업처럼 일반 국민도 심사에 참여해 성장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선발한다.

시스템반도체는 △시스템온칩(SoC) △아날로그반도체 △스마트센서 △인프라, 바이오는 △제약 △의료기기 △디지털헬스케어(디바이스) △바이오소재, 미래차는 자율주행 2개 분야와 친환경차 등으로 나누어 총 15개 분야에서 세분화한 지원을 실시한다.

선정 기업 당 최대 12억원 규모 사업화 또는 연구개발(R&D) 자금을 비롯해 최대 13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이나 기술보증을 받을 수 있다.

차정훈 중기부 창업벤처혁신실장은 “빅3 분야는 신시장 창출과 더불어 고성장이 기대되는 만큼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스타트업과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1월에만 700여건 사업 공고…정책자금은 상시 모집

중기부가 23일부터 모집하는 '2020년 빅3분야 중소벤처기업 혁신성장 지원' 사업처럼 올해 신규로 실시하는 사업만도 △혁신 중소기업 스케일업 프로그램 △랩투마켓 펀드 △후불형 R&D △규제해결형 R&D △글로벌 창업사관학교 등 수십여건에 이른다.

정부가 상반기 중으로 신속하게 자금 집행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미 종료된 사업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아직 사업 개시가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22일 현재 총 14건 사업이 조기에 마감되는 등 수요 중소·벤처기업은 이미 역대 최대 규모로 풀리는 지원 사업에 몰리기 시작했다. 중앙부처가 총 461건, 지자체가 총 282건 사업을 진행 중이다.

중소·벤처기업의 가장 큰 관심은 단연 정책자금이다. 올해 중소·벤처기업에 배정된 정책자금 규모는 지난해에 비해 9200억원 증액된 4조5900억원에 이른다.

정책자금은 크게 창업자금, 성장자금, 시설자금 등으로 나뉜다. 창업자금은 혁신창업사업화자금이라는 이름으로 2조5500억원을 공급한다. 창업기반지원자금, 일자리창출촉진자금, 미래기술육성자금, 고성장촉진자금, 개발기술사업화자금 등으로 구분된다. 창업 7년 이내 또는 창업 3~10년 기업이 주요 지원 대상이다.

성장자금은 신성장기반자금 1조3300억원, 신시장진출지원자금 2000억원, 투융자복합금융 2000억원 등으로 구분해 모집한다. 재도약을 위한 정책자금도 총 3100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스마트공장 도입을 추진하거나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산업·신기술 영위기업, ICT기반 생산 효율화를 위한 자동화 시설 설치를 원하는 기업은 신성장기반자금 가운데 제조현장스마트화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중소기업 정책자금 사업은 연중 상시로 신청을 받는다. 올해도 정부에서 충분한 예산을 책정한 만큼 조기 마감 등 우려도 크지 않다. 중진공 관계자는 “통상 정책자금 수요는 자금이 필요한 1분기에 몰리기는 하지만 예산 소진을 걱정할 정도는 아니다”라면서 “하반기까지도 충분한 자금이 남은 만큼 서둘러 자금을 신청하기 보다는 자금 운용 계획을 수립해 자금이 필요한 시점에 맞춰 정책자금을 신청하는 것이 가장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역대 최대 폭으로 증가한 중기 R&D…2월, 6월에 집중

중소기업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지원도 올해 대폭 늘었다. 지난해에 비해 38.5% 증가한 1조4885억원을 투입한다. 올해 신설된 R&D 사업만도 총 18개, 2807억원 규모에 이른다.

R&D 지원은 정책자금 융자와 달리 사업별로 사업자를 별도 선정한다. 50여개에 이르는 R&D 내역사업 가운데 이미 절반 이상 사업은 공고를 개시했고 다음 달부터 접수에 들어갈 예정이다.

가장 큰 규모의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은 중소기업 상용화기술개발 사업이다. 올해 신규로 1216억원 예산이 배정됐다. 지난해 총 1120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다. 특히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은 최대 2년 기간 동안 5억원을 지원한다. 정부 출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65% 수준이다. 수요처 및 투자기업이 협력 의사를 밝히고 개발을 제안한 과제에 대한 기술개발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자금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이 밖에 4차 산업혁명 분야 신산업 창출, 소부장 분야 기술자립을 위한 지원도 각각 2000억원, 1186억원 규모로 다음 달 중으로 대상 기업 접수를 개시한다.

R&D 지원사업은 이번 기회를 놓쳐도 하반기에 다시 기회가 있다. 대다수 사업은 2월 중으로 1차 사업을 실시하고, 5~6월부터는 2차 사업을 재공고한다.

◇고용부는 청년 일자리 장려금, 산업부는 해외 진출 지원

중기부 외에도 여타 부처가 지원하는 사업도 다양하다. 우선 고용노동부가 실시하는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 지원 사업도 중소·중견기업의 큰 관심 대상이다. 이 사업은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이 청년 정규직을 신규 채용하거나 근로자 수 증가 시 추가 채용 장려금을 지급한다. 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한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은 신청이 가능하다. 성장유망업종, 벤처기업 등은 5인 미만도 가능하다.

청년 추가채용 1명당 연 최대 900만원을 3년간 지원한다. 기업 당 최대 30명까지 지원한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신규로 총 9만명에 대한 장려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역시 중소기업에 인기다. 청년층 중소·중견기업 장기근속 유도를 위해 청년과 기업, 정부가 공동으로 공제금을 적립해 2~3년을 근속한 청년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만기공제금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2년형은 1600만원, 3년형은 3000만원을 만기 시 받을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해외전시회 개별참가지원 사업 참여기업을 31일까지 모집한다. 해외전시회에 독자적으로 참가하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주요 지원 대상이다. 선정기업 당 해외전시회 1회, 최대 5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하고 있다. 약 1800개사를 대상으로 올해 중으로 해외에서 열리는 전시회 참여 직접 비용과 전시물품 운송비용 등을 지원한다.

산업부는 내수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지원 사업도 실시한다. 수출컨설팅, 외국어 카탈로그 제작 등을 지원한다. 내수 중소기업 700개사와 수출초보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무역전문가인 수출전문위원(MC)을 1대 1 매칭해 유관기관 및 해외무역관과 합동으로 무역실무에서 해외 거래선 발굴, 수출계약, 이행까지 밀착 지원한다.

방위사업청은 국방 중소기업 정책자금을 활용해 방산업체로 지정되지 않은 중소기업에 저리로 자금을 융자하고 시중 금리와의 이자 차액을 지원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31일까지 1차 참여 기업을 모집한다. 군수품 생산을 위한 자금이 필요한 업체가 지원 대상이다. 약 500억원 규모에서 연구개발, 시설 설치 등을 준비하는 중소기업을 지원한다.

이 밖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ICT R&D 혁신바우처 지원사업, 조달청의 우수조달 공동상표 물품 지정, 환경부의 중소환경기업 사업화 지원, 해양수산부의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 특허청의 글로벌 IP스타기업 지정 등 각 부처에서 중소기업 지원 사업을 다양하게 실시하고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통상 상반기에 각종 지원사업이 몰리지만 시점을 놓친 기업을 위해 하반기에도 공고 시점을 구분해 실시하고 있다”면서 “중기부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처의 지원 사업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