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회사의 보험금 지급 능력을 뜻하는 지급여력비율(RBC)이 올해 들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시장금리가 하락하면서 보험사가 투자한 채권의 평가이익이 반대로 상승한 결과가 반영된 수치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912/1256668_20191226155845_747_0001.jpg)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9년 9월말 기준 보험회사 RBC비율 현황'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국내 54개 보험사의 RBC 비율은 286.9%로 전분기 대비 4.5%포인트(P) 올랐다.
RBC비율은 보험 계약자가 보험금 지급을 요구할 때 보험사가 이를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RBC비율이 높을수록 보험금 지급 여력이 높다는 의미다.
보험험업법에 따르면 보험사는 RBC 비율을 100%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며, 금융당국은 150% 이상을 권고한다.
보험사들의 RBC 비율은 한때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에 대비한 제도 개선으로 240%대로 떨어졌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261.2%)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 올해 3월에는 273.9%, 6월에는 282.4%로 집계됐다.
이는 RBC 비율을 계산할 때 분모에 들어가는 보험사의 가용자본이 증가한 덕분이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채권평가이익 등 기타포괄손익이 5조6000억원 늘어난 데다 올해 3분기 중 보험사들의 1조6000억원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면서 가용자본이 8조원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올해 9월 말 기준 생명보험업권의 RBC비율이 전분기 대비 5.1%P 오른 301.2%로 집계됐다. 손해보험업권은 260.0%로 3.1%P 올랐다.
24개 생명보험사의 경우 RBC비율이 모두 금융당국 권고치인 150%를 훌쩍 넘으면서 안정적인 수치를 보였다. 30개 손해보험사 중에는 롯데손보(141.4%)와 MG손보(136.0%)가 금융당국 권고치를 넘지 못했다. 더케이손보도 RBC비율이 169.1%로 전분기 대비 15.9%P 떨어져 금융당국 권고치에 근접한 수치를 보였다.
롯데손보의 경우 10월 빅튜라와 호텔롯데를 대상으로 3750억원의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롯데손보는 해당 유상증자로 RBC비율이 190%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MG손보의 경우 지난해 RBC 비율이 90% 이하로 떨어지면서 금융당국으로부터 경영개선권고 및 요구, 명령 조치까지 받았지만 현재는 이를 130% 수준까지 끌어올린 상태다. 더케이손보의 경우 주력산업이던 자동차보험 영업이익 등이 악화하면서 RBC비율이 떨어졌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9월 말 현재 보험회사 RBC비율은 286.9%로 보험금 지급의무 이행을 위한 기준인 100%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면서 “다만, 향후 RBC비율 취약 등이 우려되는 경우 자본확충 및 위기상황분석 강화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재무건전성을 제고토록 감독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