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고용노동부가 내놓은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과 함께 이를 위해선 사회 전반의 직종개편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고용부는 인구 변화와 기술발전 등이 인력수급에 영향을 미치면서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봤다.
직종개편의 여파는 농어업, 광업, 도소매업, 유통업 등 단순직의 감소를 넘어선다. 이들 단순직 일자리 감소는 굳이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빠른 발전을 가정하지 않더라도 정해진 수순이다. 보다 넓은 직종에서 희비가 갈릴 전망이다. 전기·가스 등 인프라 분야도 자동화를 통해 인력수요가 줄어들고 금융·보험·부동산 일자리도 감소한다. 제조업은 경제규모 확대와 소득향상 영향으로 취업자 수가 증가하겠지만 그 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해외에서도 비슷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독일은 '노동시장 2030:디지털 시대의 경제 및 노동시장'에서 가속화된 디지털화가 기본전망보다 약 26만명의 추가고용을 가져올 것으로 봤다. 전체적으로 IT 서비스, R&D 등 13개 분야에 일자리 100만개가 늘고, 소매·인쇄·행정 등 분야에서 75만개가 줄 것으로 관측했다.
일본은 '신산업비전'을 통해 4차 산업 개혁 시나리오가 2030년까지 약 574만명의 고용을 창출한다고 발표했다. AI, 로봇 등으로 대체하기 힘든 관리직, 연구직, IT 관련 직종은 434만명이 늘 것으로 예상했지만, 생산·판매·서비스, 사무지원 등은 596만명의 감소를 전망했다.
4차 산업혁명 인력수요를 맞추기 위해서는 교육개혁과 직업훈련 혁신을 통한 인재양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고용부는 저출산·고령화에 대응해 효율적인 인력활용을 모색하고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교육개혁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이에 4차 산업혁명 고급 인력을 양성하고 전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 지원 등 중장기 관점의 인적자본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