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100조원에 달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대출·보증 등 위험노출액) 관리에 나선다. 내년 2분기부터 증권사와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에 채무보증 취급 한도가 도입된다.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회 거시건전성 분석협의회를 열고 '부동산 PF 익스포저 건전성 관리 방안'을 논의했다.
앞으로 증권사는 부동산 채무보증 한도를 자기자본 대비 100%까지만 설정할 수 있다. 여전사는 부동산PF 대출과 채무보증을 합쳐 여신성 자산(채권·리스자산·카드자산·여신성 가지급금)의 30%까지만 보유하도록 제한했다.
증권사와 여전사는 안정적 수신 수단이 없어 PF 채무보증 규모가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경우 유동성리스크나 신용리스크를 촉발할 가능성이 크다. 또 증권사의 부동산 PF 채무보증에 대한 신용위험액을 산정할 때 위험 값을 12%에서 18%로 상향 조정한다.
여전사는 PF 대출과 같은 비율로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도록 했다.
금융당국은 채무보증에 따른 유동성 리스크 관리를 위해 조정유동성비율(유동성자산/유동성부채+채무보증)이 100% 미만으로 하락한 증권사의 리스크 관리 실태를 별도로 점검할 방침이다.
올해 6월 말 현재 전 금융권의 부동산PF 채무보증 규모는 28조1000억원, 대출 잔액은 71조8000억원으로 전체 익스포저가 약 100조원에 달한다.
지난 2016년 말 기준 3조9000억원이었던 증권사 부동산PF 대출은 올해 6월 말까지 4조9000억원으로 확대됐다.
이와 함께 레버리지론이나 하이일드 채권 등 고위험 기업부채 자산에 대한 금융사의 투자 현황도 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다.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은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면서 금융사나 투자자들이 고위험 투자를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고위험 투자는 리스크 확대를 의미하는 만큼 정책당국은 좀 더 면밀하게 점검하고 긴밀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포트폴리오 조정이 오버슈팅되면서 시장 불안의 도화선과 증폭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며 “고위험이 내재된 고수익 채무증권 투자 동향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한 경우에 건전성 장치를 보완해야하겠다”고 말했다.
김지혜기자 jihy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