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경상흑자 기조, 대외안정성 확보에 큰 기여"

한국은행이 그간의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우리나라 대외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분석 자료를 11일 발표했다.

Photo Image

한은 경제연구원 이아랑 차장·국제국 박상은 조사역은 이날 조사통계월보 10월호 '경상수지가 대외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경상수지 흑자 기조는 한국의 대외안정성 확보에 상당 부분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저자들은 2000년 1분기∼2018년 3분기까지 19개 신흥국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과 캐나다 중앙은행이 추정한 각 나라의 취약성 지표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취약성 지표란 외환보유액, 정부 부채, 물가 상승률 등 8개 부문 취약성 정도를 50∼100포인트(P) 사이로 표준화한 것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대내외 리스크에 취약하다.

그 결과, GDP 대비 경상흑자 비율이 1%P 상승하면 취약성 지표가 0.4P 하락하는 것으로 나왔다. 수출로 벌어들이는 달러 증대가 그 나라의 생산능력, 채무상환능력을 개선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아르헨티나(77점) 및 인도(61점)와 우리나라(56점)을 비교한 결과, 아르헨티나와의 취약성 지표 간 격차 중 20%, 인도와의 격차 중 50%가 경상수지 차이 때문인 것으로 풀이했다.

한국은 2017년 1분기∼2018년 3분기 GDP 대비 4%의 경상수지 흑자를 누린 반면, 같은 기간 아르헨티나와 인도는 매년 경상적자를 기록했다.

한편, 한은은 지난 7월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를 590억달러로, 내년은 585억달러로 전망했다. 올해 경상흑자가 590억달러를 기록하더라도 유럽 재정위기가 발생한 2012년(488억달러) 이후 가장 적은 수준에 그친다.

저자들은 “경상흑자가 전망 범위 안에서 줄어드는 경우 한국의 취약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실질 원화 가치 상승 압력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