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4000여개 도시 중 대기오염이 가장 심각한 도시 100곳을 선정했는데 44곳이 한국 도시였습니다.”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은 23일 우리나라에서 처음 개최된 '제8회 세계재생에너지총회'에 참석해 이 같이 밝혔다.
반 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석탄화력발전소 60곳 중 23곳 가동을 중단해 달라고 요청했고 120만대 노후 경유차 운행을 제한하는 등 기후환경변화 대응을 적극 요청한 까닭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류 문명과 산업혁명은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발전했지만 지구온난화·자연생태계 파괴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했다”며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가 공동으로 기후환경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0월 24일이 정부가 에너지전환(탈원전) 정책을 선언한 지 정확히 2주년이 되는 날이라며 역대 최초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서울시)가 세계에너지총회를 공동개최한 것은 의미가 각별하다고 강조했다.
성 장관은 “오늘은 녹색요금제 도입을 발표한 날이기도 하다”면서 “재생에너지와 정보기술(IT)을 융합해 산업발전을 일궈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시가 원전 2기 분량 에너지 수요 감축에 성공했다며 재생에너지를 통한 지역 정책을 성공 이행한 결과라고 자평했다.
총회에 참석한 중국·독일·아랍에미리트·몽골·캄보디아 등 정부 대표들은 각국 재생에너지 정책과 글로벌 재생에너지 확산을 촉진하기 위한 활동을 소개했다. 특히 중국은 자신감을, 독일은 정책성찰을, UAE는 의문에 대한 답을 표출하는데 집중했다.
류 바오 화 중국 국가에너지국 부국장은 “중국은 전체 전력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을 40%까지 성장시킬 것”이라며 “3년 후 그리드패리티(재생에너지 발전단가와 화석에너지 발전단가가 동일해지는 균형점)를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세계 태양광 관련 제품 중 중국산은 전체 60% 이상을 차지한다”며 “생산단가를 크게 낮춰 세계 각국에 질 좋고 저렴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었다”며 각국 기업이 중국과 협력해야 한다고 자신했다.
탈원전 선언 이후 재생에너지 정책을 적극 이행중인 독일은 '정부의 잘못된 판단'에 대해 충고했다. 토스튼 헤르단 독일 연방경제에너지부 실장은 “재생에너지 비중을 40%까지 늘리는데 성공했고 머지않아 50%에 도달할 것”이라면서도 “정책을 이행하면서 간과한 부분이 있는데 그것은 재생에너지 발전에만 집중한 나머지 교통·건축 등 산업과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지 못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한 가격을 명확히 정해놓지 않으면 재생에너지 정책은 실패할 수 있다면서 독일도 곧 관련법을 개정한다고 밝혔다.
파하드 알 함마디 UAE 기후환경부 차관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석탄보유량이 많고 세계 여섯 번째 규모의 천연가스 저장량을 갖췄는데도 불구하고 재생에너지 정책을 적극 추진하는 배경에 대해 “잠재력이 크기 때문”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2021년까지 전체 에너지 비중이 21%를 청정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재생에너지는 기후환경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백신'이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 밖에 프란세스코 라 카메라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사무총장은 “한국이 재생에너지 경쟁력과 투명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전력구매제도(PPA)를 도입하고 법적인 환경을 개선하는 등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청소년 기후행동 소속 학생운동가 김도현양은 성 장관에게 “기후변화를 악화시키는 한국 국민으로 부끄러움을 느끼고 싶지 않다”며 “우리나라가 자랑스러운 나라가 될 수 있도록 청소년들 외침에 응답하고 즉시 행동으로 옮겨달라”고 요구했다.
최재필기자 jp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