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뉴스 검색량과 실시간급상승검색어(실급검)가 정치 공세 소재로 떠올랐다. 야당이 실급검 조작을 이유로 네이버 본사를 항의 방문하는 일도 벌어졌다. 내달 2일 시작하는 국정감사에서도 핫이슈가 될 전망이다.
내년 국회의원 선거 등 대형 정치 이벤트를 앞두고 뉴스를 공급하는 포털과 언론을 향한 압박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에서 검색되는 특정 키워드 뉴스량이 변한다는 것은 사실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다. 언론이나 포털이 임의로 뉴스를 감추거나 삭제하기 때문일까? 이런 주장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다.
우선 네이버 뉴스 검색량이 크게 달라진다는 주장을 살펴보자. 9월 6일 조국 법무부 장관 청문회 당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조국 장관 후보자 지명 이후 20일 동안 12만7090건 보도가 나왔다고 주장했다.
일부 의원은 조 후보자 지명 후 한 달간 보도된 관련 기사가 118만건이라는 자료도 제시했다. 모두 네이버 뉴스 검색이 기준이다. 후보지명 이후 3주간 70만건 관련 기사가 나왔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이는 언론이 조국 장관에 대해 과도하게 뉴스를 집중한다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세월호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등 사회적 사안은 물론 비슷한 사례인 황교안 전 법무부 장관과 비교해도 5~10배 높다는 것이다.
◇시점, 키워드에 따라 검색량 달라져
포털 검색을 기준으로 뉴스량을 따지는 것은 전제부터 틀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점과 키워드에 따라 검색엔진이 수집하는 데이터 집단이 다르기 때문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검색엔진이 색인하는 총 문서 집합이 주기적으로 바뀌는데 색인 갱신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과 직후 총 문서 수에 차이가 발생한다”면서 “또 검색 효율성을 위해 이용자 검색결과를 캐싱(서버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것)하는데 시점에 따라 캐싱된 결과가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쉽게 말해 검색 시점에 따라 검색엔진이 뒤지는 총 문서가 다르기 때문에 문서 수에 차이가 날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네이버 800여개 뉴스 제휴사는 저마다 네이버에 뉴스가 노출되는 기간도 각기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사례와 일대일로 비교하기 어려운 이유다.
검색 키워드에 따라서도 결과가 달라진다. 9월 19일 '조국'으로 네이버 뉴스를 검색한 결과 177만건 이상 뉴스가 검색됐다. '조국통일' 등 '조국'이 들어간 키워드를 모두 검색한 결과로 보인다. 조국 장관으로 검색할 경우에는 138만건, 조국 법무부 장관으로 검색할 경우 77만건 이상 뉴스가 검색됐다. 이마저도 시간대별로 수만 건에서 수십 만 건 차이가 났다.
검색량을 단순히 수치화하는 것도 의미가 없다는 논리 전개가 가능하다. 19일 오후 4시 30분 기준 조국 법무부장관으로 구글 뉴스를 검색하면 1340만건 기사가 있는 것으로 나온다. 네이버와 비교해도 10배가량 많고 산술적으로 불가능한 수치다.
한국언론재단이 운영하는 뉴스 검색 시스템 빅카인즈에 따르면 올해 6월 19일 이후 한달 동안 '조국 법무부장관'으로 검색된 뉴스는 3458건에 불과하다. 빅카인즈에서는 국내 54개 언론사가 쓴 뉴스를 1990년부터 검색할 수 있다.
네이버는 지난 6일 이뤄진 뉴스 서비스 공지에 대해서도 “조국 키워드 관련 논란과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네이버는 이날 “오전 10시 30분경부터 11시 30분까지 약 1시간동안 네이버 검색 뉴스탭에서 키워드 입력 시 뉴스 검색 결과가 간헐적으로 정상 서비스 되지 않았다”고 공지를 통해 사과했다.
◇뉴스 플랫폼 향한 정치공세 '부담' 넘어 '불합리' 수준
네이버 서비스가 정치 공세 소재로 쓰인 것은 하루이틀 일이 아니다. 네이버는 지난해 드루킹 사태를 겪으며 댓글을 포함한 뉴스 편집 기능을 모두 언론사에 넘겼다. 모바일 첫 화면에도 뉴스를 삭제했다. 구글이 비슷한 시기 첫 화면에 편집된 뉴스를 내보내는 것과 대조적이다.
네이버는 실시간급상승검색어(실급검)도 공격 받았다. 조국 장관 임명 논란을 겪으며 '조국 힘내세요' 등 지지자가 실급검을 이용해 여론 운동을 전개한 것을 두고 야당이 공격했다. 네이버가 실급검 조작을 방치하고 있다는 항의다. 여야를 막론하고 인터넷 사업자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네이버는 명예훼손, 음란성 등 특정 조건이 아니면 실시간급상승검색어에 손대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는 입장이다. 한국인터넷정책자율기구(KISO)에 따르면 특정인에 대한 응원표시는 실급검 제외 사항이 아니다.
인터넷 업계 관계자는 “최근 실급검이 일부 업체 마케팅 수단으로 쓰이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지만 여론 동향을 살피는 추이로서 기능이 여전하다”면서 “이를 손대면 조작, 손대지 않으면 조작을 방치한다고 하는 지적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나서 이 같은 혼란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성동규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부 교수는 “구글과 바이두 등 해외 포털도 뉴스와 실급검 서비스를 하고 있다”면서 “유독 한국에서 포털 뉴스 서비스에 대한 정치 공세가 이어지는 것은 결국 여야와 지지자가 편가르기 수단으로 포털을 이용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치권 책임이 크다는 것이다.
성 교수는 “인터넷 기업도 정치권이 소재로 삼는 서비스는 기술적으로 관심이 분산되도록 후면에 배치하는 등 일단 과열된 관심을 식히기 위한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